X

13억 들인 농축산물 30% 할인상품권…서울에선 못쓰는 이유

원다연 기자I 2021.06.14 05:00:00

"전통시장 농축산물 할인 확대"에 13억원 배정
제로페이 연계했지만 서울 등 일부지역은 제외
전통시장 내 '국산 농축산물' 판매점 선별 지연 탓
"이달 내 모든 지역으로 정비…예산도 확대 검토"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의 한 점포에서 시민이 채소를 구매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세종=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정부가 코로나19로 위축된 농축산물 소비 진작을 위해 이달부터 제로페이와 연계해 전통시장에서 농축산물 구입시 30% 선할인을 적용하는 상품권 판매에 나섰다.

그러나 국산 농축산물만 판매하는 점포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탓에 서울 등 일부지역에선 아예 이용이 불가능하다. 특정지역에 일부 주민에 혜택이 집중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3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농식품부는 이달 1일부터 전통시장 내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농축산물 구매 시 사용할 수 있는 30% 할인 상품권 판매에 나섰다. 정부는 올해 농축산물 할인 쿠폰 예산을 작년 400억원에서 1.9배 수준의 760억원으로 확대 편성해, 지난 1월부터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 다양한 유통채널을 통해 할인 행사를 지원해왔다. 국산 농축산물 소비 진작을 위해 할인 금액만큼을 정부 예산으로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번에 내놓은 농할상품권은 전국상인연합회가 지정한 신선 농축산물 전통시장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품권은 30% 할인된 가격으로 한 사람당 매달 13만원까지 구매 가능하다. 구매 및 사용 기간은 올해 10월까지다. 농식품부는 농할 상품권에 올해 전체 농축산물 할인쿠폰 예산 760억원 가운데 13억원을 배정했다,

문제는 판매정보관리시스템(POS)이 갖추지 않은 시장이 많아 농할상품권을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국산 농축산물 소비 진작이 목적인 만큼 결제 때 원산지를 일일이 확인이 되어야 하는데, POS를 갖추지 않은 점포는 수입산을 걸러내기가 불가능해서다.

제로페이에 따르면 현재 농할 상품권으로 결제 가능한 지역은 경기도, 경상남도,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남도, 제주도이며 현재 사용 가능한 가맹점은 898곳이다.

정부는 이달 내 모든 지역에서 전통시장 내 농할상품권 적용이 가능한 점포들을 추려 시스템 정비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농할 상품권에 대한 수요가 많을 경우 전체 할인 쿠폰 예산 내에서 배정 예산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POS가 없는 전통시장 내 상점에서 국산과 수입산을 같이 팔거나, 농축산물이나 공산품을 같이 파는 경우는 국산 농축산물에 할인 지원이 이뤄진 것인지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농할 상품권 가맹점으로 지정하기 어렵다”며 “전국상인연합회의 협조를 받아 지역별로 국산 농축산물만을 판매하는 상점 명단을 받아 시스템을 적용하는데 서울과 강원 등 일부 지역에서 해당 작업이 늦어지면서 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통시장 내 농할 상품권 사용 가능 상점이 국산 농축산물만을 취급하는지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전통시장에서의 농할상품권 사용 방안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농산물유통공사와 함께 진행하는 사업인 만큼 농할 상품권 적용 상점에 대해서는 관리와 점검을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제로페이 앱 내 농할 상품권 구입 화면. (자료=농식품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