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WIC 구글 애플 등 주요 美기업 모두 불참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20일(현지시간)부터 사흘간 중국 저장성 우전시에서 열리는 제 6회 WIC에는 애플과 페이스북, 구글, 트위터는 참석하지 않았다.
애플은 지난달까지만 하더라도 중국사이버공간관리국(CAC)에 참석 의향을 밝혔고 실제로 등록까지 마쳤으나, 실제 참석은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 소식통은 SCMP에 “참석자가 다른 일이 생겼다고 연락했다”고 말했다.
WIC는 중국 정부가 주최하는 가장 큰 규모의 인터넷·정보기술 관련행사다. 2014년부터 개최되는 이 행사는 중국의 ICT 기술을 홍보하고 그 정책을 소개하는 역할을 한다. 인터넷 이용인구만 8억명이라고 알려진 이 거대한 시장에 군침을 삼키는 ICT 기업들이 너 나 할 것 없이 발길을 옮긴 이유다.
글로벌 인터넷 거인인 애플과 페이스북, 구글 등도 예외는 아니었다. 특히 2017년에는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와 선다르 피차이 구글 CEO가 직접 WIC에 참석하기도 했다. 그러나 올해는 CEO는커녕 관계자들도 일제히 모습을 감췄다.
인터넷 거인들의 집단 불참을 단순히 미·중 무역전쟁의 여파라고 해석하기에는 설득력이 부족하다. 실제 이날 행사에는 허니웰, 퀄컴, 인텔, 시스코 시스템, 웨스턴디지털 등 하드웨어 기업은 물론 마이크로소프트(MS)와 같은 소프트웨어 기업은 WIC에 참석했다. 워싱턴과 베이징이 서로 으르렁거리고 있지만 13억 인구라는 거대한 시장을 포기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텍사스에 본사를 둔 반도체 회사인 엑스존(Axzon)의 샤이라 록사즈 CEO는 중국 파트너와 함께 내년 초 중국 지점을 개설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미·중 무역전쟁으로 중국의 매출이 20%까지 떨어졌지만 여전히 중국은 유망한 시장이라고 SCMP에 말했다.
홍콩 시위는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미국 정부는 신장 위그루 등에서 벌어지는 인권 탄압을 문제 삼고 있다. 13억 시장을 등 돌릴 수도 없고 그렇다고 인권과 표현의 자유라는 절대적 가치를 부인할 수 없는 인터넷 기업들은 어느 쪽도 편을 들 수 없는 난처한 처지에 놓여 있다. 이미 애플과 구글은 홍콩의 반(反) 정부 시위와 관련된 앱을 차단하면서 중국의 편에 섰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의 인터넷 통제정책을 주도하고 있는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에서 주도하는 국가행사에 참여하는 것은 오얏나무 아래에서 갓끈을 고쳐 매는 꼴이다.
앞서 2007년 기조연설에 나선 쿡 CEO는 “나와 우리 회사에 중국 시장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현지 시장에 진출해 본격적으로 사업을 하려면 그곳의 법과 규제를 따라야 한다”고 발언해 중국정부의 인터넷 검열을 옹호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디지털 일대일로(一對一路) 구축 나선 中
중국 정부는 2017년 인터넷 통제에 대한 근거법인 ‘인터넷안전법’을 시행,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감시하고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인터넷상 감시체계를 구축했다. 특히 자국민의 신분증, 안면 인식, 휴대폰 번호, 은행계좌를 모두 일괄적으로 통제하고 있고 중국 인터넷 기업인 알리바바나 텐센트 등이 운영하는 결제 플랫폼 역시 이들 행정체제와 연계돼 있다.
특히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날 황쿤밍 중국선전부장이 대독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축하 서신에서 “각 국가가 협력해 인터넷 공간을 관리해 운명공동체를 구축하자”는 발언에 주목했다. 닛케이는 이를 바탕으로 “중국정부가 120개 국가가 참여하고 있는 일대일로(一對一路·중국식 육·해상 실크로드)를 발판 삼아 디지털 공간에서도 디지털 실크로드를 구축하려고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판 범지구위치결정시스템(GPS)인 ‘북두’는 지난해 말부터 일대일로 국가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서 운용을 시작했다. 중국 통신장치기업인 ‘화웨이’는 캄보디아와 필리핀에 5세대(5G) 기술을 제공했고 통신업체인 ‘차이나텔레콤’(중국전신집단)은 중국과 파키스탄에 광통신망을 설치했다. ‘중국이동통신집단’은 싱가포르에 해외 첫 데이터센터를 만들고 있다.
알리바바그룹은 말레이시아에서 파키스탄으로 송금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제공한다. 중국 미디어에 따르면 징동닷컴은 인도네시아 물류에서 드론 기술을 활용하고, 경찰들이 활용하는 무선기술을 다루는 ‘하이테라’는 필리핀에서 통신 설비를 수주했다.
닛케이는 “일대일로 참여국 중에서는 중국식 여론통제를 도입해 통치 안정을 도모하고 싶은 나라도 있는데다 중국 기업의 가격 경쟁력으로 인프라 비용 부담이 낮아진다는 것을 장점으로 생각하는 나라들도 있다”며 “디지털 패권을 둘러싼 미·중 갈등은 더욱 격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