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파워 이 정도 일 줄이야.. 경제적 효과 '37조원'

최영지 기자I 2023.07.10 06:00:00

한경연, '한류 확산의 경제적 효과 추정' 조사
한류 품목 수출증가율 13.7%, 총수출 증가율의 2.5배

[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지난 5년간 화장품·음악·방송 등 한류 밀접품목(한류 품목)의 수출이 급증하면서, 한류의 경제적 효과가 생산유발액 기준 총 37조원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bts(사진=연합뉴스)


10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한류 확산의 경제적 효과 추정’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한국 문화가 전세계로 확산하며 음악·방송 등 문화콘텐츠와 화장품(K-뷰티)·가공식품(K-푸드) 등 한류와 밀접한 소비재 수출이 늘었다. 지난 5년간(2017~2021년) 이들 한류 품목의 연평균 수출증가율은 13.7%로 같은 기간 국내 전체 수출액의 연평균 증가율 5.4% 대비 약 2.5배 수준이다. 한류 품목의 부문별 수출증가율은 △문화콘텐츠 15.7%(음악 11.9%, 방송 11.8% 등) △화장품 16.6% △가공식품 7.8% 등이다.
미국 와튼스쿨 등이 집계한 ‘글로벌 문화적 영향력’에 따르면, 한국 문화가 국제적으로 미치는 파급력은 2017년 세계 31위(80개국 중)에서 2022년 7위(85개국 중)로 5년간 24단계 급등했다. 한경연은 “2018년부터 비영어권 가수 최초로 5년 연속 글로벌 아티스트 차트 상위권 10위에 진입한 ‘BTS’, 2021년 방영돼 94개국에서 시청률 1위를 기록한 ‘오징어게임’ 등 글로벌 한류의 열풍으로 한국의 문화적 영향력이 급신장했다”고 설명했다.

한경연이 통계모형과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해 한류의 경제적 효과를 추산한 결과, 한류 확산이 최근 5년 동안 소비재·문화콘텐츠 수출 신장을 통해 유발한 국내 생산액은 총 37조원에 달했다. 이 중 30조5000억원은 소비재 수출 증진, 6조5000억원은 문화콘텐츠 수출 증진을 통해 발생했다.

또, 지난 5년간 한류가 창출한 부가가치액은 총 13조2000억원으로, 소비재 수출 증가로 9조9000억원, 문화콘텐츠 수출 증가로 3조3000억원이 각각 유발됐다.

한류는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했다. 지난 5년간 한류 확산에 따른 총 취업유발인원은 16만명으로 집계됐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금융지원 확대와 인프라 확충 등을 통해 기업의 적극적인 한류 콘텐츠 투자 확대를 유도해, 한국 문화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