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서울대 주도 연구팀, 해양플랑크톤 내 높은 탄소보유량 지닌 먹이망 구조 밝혀

강민구 기자I 2023.12.16 04:00:00

탄소중립 위한 실마리 찾아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국내 연구진이 해양생태계의 먹이망 구조(먹이 사슬이 그물망처럼 이뤄져 있는 먹이 관계)를 통해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았다.

한국연구재단은 정해진 서울대 교수팀이 주도하는 국내 공동 연구진이 해양 플랑크톤 군집 내 높은 탄소보유량을 지닌 먹이망 구조를 알아냈다고 16일 밝혔다.

먹이망 구조 타입별 탄소보유량.(자료=한국연구재단)
탄소중립은 탄소 발생량과 흡수량이 같아지는 것을 뜻한다. 산업 활동으로 발생하는 탄소량을 급격히 줄일 수 없다면 흡수를 늘리는 방법으로 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기 내 이산화탄소의 25%를 흡수하는 해양의 역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지만, 전 세계 해양 광합성 생물의 탄소 보유량이 육상 광합성 생물의 1%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해결책이 요구된다.

연구팀은 해양생태계 먹이망의 근간이 되는 해양플랑크톤 군집 내의 먹이망 구조에 주목했다. 전 세계 해양에서 채집·분석된 자료를 이용해 어떤 먹이망 구조가 가장 많은 탄소를 보유하는지를 밝혀냈다.

6954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식물플랑크톤의 탄소량이 가장 높은 피라미드 구조가 57%로 제일 많았다. 단세포 원생동물플랑크톤의 탄소량이 가장 높은 다이아몬드 구조가 31%로 두 번째로 많았고, 다세포 후생동물플랑크톤의 탄소량이 가장 높은 역피라미드 구조가 13%로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 먹이망 구조가 피라미드인 경우에 가장 많은 탄소를 보유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정해진 교수는 “가장 많은 탄소를 보유하는 먹이망 구조가 식물플랑크톤, 원생동물플랑크톤, 후생동물플랑크톤의 피라미드 구조로 밝혀졌기 때문에 식물플랑크톤을 늘리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며 “무해성 식물플랑크톤의 양을 늘리고 이를 잘 포식하는 원생동물플랑크톤의 양도 늘리는 방법을 찾는다면 해양생태계 내 탄소보유량을 늘리는데 활용할 수 있다”고 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16일자로 게재됐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