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블프 소비 꺾일까' 주목…뉴욕증시 보합세 마감[월스트리트in]

김상윤 기자I 2023.11.25 04:08:18

연말쇼핑 연휴시작에 거래량 적어
3대지수 4주 연속 상승세는 이어가
獨국채금리 상승에 美10년물도 4.5%근접
국제유가 하락세…WTI 75달러선까지 내려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블랙프라이데이를 맞은 24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이날 연휴 뒤 금요일 거래인 데다 거래 시간도 짧아 거래량은 평소보다 적었고 지수 변화가 거의 없었다. 국채금리가 소폭 오른 것도 최근 랠리를 억제했다.

뉴욕증권거래소(사진=AFP)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33% 상승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06% 올랐고, 반면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0.11% 하락했다. 이날 뉴욕증시는 추수감사절 연휴로 오후 1시에 폐장했다. 세 지수 모두 4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나갔다.

뉴욕 스파르탄 캐피털증권의 수석 시장이코노미스트인 피터 카르딜로는 “추수감사절 이후 거래시간이 짧아 거래에 참여한 투자자들이 많지 않았다”면서 “다만 연말 랠리의 경로를 이어나가고 있다”고 했다.

블랙프라이데이 연휴 쇼핑 시즌을 시작한 가운데 주요 유통주들이 혼조세를 보였다. 월마트는 0.9% 올랐고, 아마존은 보합(0.02%)에 마감했다. 전미소매연맹(NRF)은 올해 연말 쇼핑시즌 소비자들의 지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4% 늘어나는데 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소비가 꺾이면 인플레이션 우려가 줄어들 수 있지만, 반면 급격한 소비 둔화는 경기침체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 증시에 부담이 될 수 있다.

이날 거시 지표는 엇갈렸다. 제조업은 위축세를 보였고, 서비스업은 확장세를 유지했다. S&P 글로벌에 따르면 11월 미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4로 잠정 집계돼 전월의 50.0과 시장 예상치(50.2)를 밑돌았다. 석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PMI가 50을 밑돌면 제조업경기 위축을 의미한다.

서비스업PMI는 50.8로 넉달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월가예상치(50.2%)를 웃돌았다.

엔비디아는 미국 수출 규제를 적용한 중국용 인공지능(AI) 칩의 출시를 내년 1분기까지 연기한다는 소식에 1.96% 하락했다.

아이로봇의 주가는 아마존이 유럽집해원회 경쟁총국의 인수 승인을 곧 받을 것이라는 소식에 38.83%나 급등했다.

국채금리는 올랐다. 독일 10년물 국채수익률이 상승하면서 미 국채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독일 연방헌법재판소가 코로나19 대응 예산 600억유로(약 84조원)를 기후 위기 예산으로 전용하도록한 연방정부의 올해와 내년 예산안이 위헌이라는 결정을 내리면서 국채금리가 치솟았다. 독일 헌재는 연방정부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0.35%로 적자 규모를 억제하도록 만든 부채 제한 조치를 준수하지 못했다고 판단했다.

오후 1시50분 기준 10년물 국채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5.4bp(1bp=0.01%포인트) 오른 4.47%를 나타내고 있다. 30년물 국채금리는 5.3bp 오른 4.601%, 2년물 국채금리는 4.5bp 오른 4.955%를 기록 중이다.

달러는 약세를 보이고 있다. 오후 1시50분 기준 6개통화대비 달러인덱스는 전거래일 대비 0.54% 하락한 103.36을 기록 중이다.

국제유가는 하락세를 보이는 중이다. 1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2.49% 하락한 배럴당 75.18달러에, 1월물 브렌트유 가격은 전장보다 1.42% 하락한 배럴당 80.26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회원국간 합의를 하지 못해 감산 회의를 연기한 OPEC+가 전망과 달리 기존 감산분만 유지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유럽증시는 일제히 상승했다. 범유럽 지수인 Stoxx600은 0.33%, 프랑스 CAC 40 지수는 0.20%, 독일 DAX 지수는 0.22% 상승했다. 영국 FTSE100 지수는 보합인 0.06% 상승에 그쳤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