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주최한 글로벌 정책 컨퍼런스에선 AI가 가져올 사회 변화의 ‘속도’에 대한 고민이 더해졌다.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은 “구글의 자율주행차 웨이모가 처음 300만 마일을 달리는데 8년 걸렸지만 최근 300만 마일을 달리는데 불과 5개월 걸렸다”며 “이제 변화의 속도가 더 가속화되고 있다는 걸 봐야한다”고 말했다.
마이클 레이터러 주한유럽연합 대사는 “자동화되면서 일자리의 반이 10년, 20년 동안 사라질 수 있다”고 우려했고, 알리스테어 놀란 OECD 수석정책분석가는 “교육시스템이 노동시장의 신호를 더 빨리 효율적으로 포착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정부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규제 혁신이 필요하다고 하면서도 기업에 책임을 지우는 듯한 모습이다.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최근 외부 행사에서 “급변하는 세상에서 정부보다 기업이 할 수 있는 일이 더 많다. 기업은 규제 개선에 절박한 목소리를 내주고 사회적 타협도 함께 고민해 달라”고 말했다.
유 장관의 말이 너무 느긋해 보이는 것은 기자만의 생각일까. 이제는 중국에게도 쫓기는 신세가 된 국내 산업의 현실을 보면 시간이 너무 없다. 중국은 이미 원격 수술이나 얼굴인식 쇼핑까지 시작했는데 우리나라에선 카풀 서비스 조차 논란이다. 정부는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당장 원스톱 규제혁신과 교육 시스템 정비에 나서야 한다. 무섭도록 빠른 AI발전 속도를 그냥 보고만 있을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