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부부, 황혼이혼이 신혼이혼 처음 앞질러

이진철 기자I 2011.05.15 11:15:30

서울시, `서울 부부의 자화상` 관련 통계발표
작년 평균초혼연령, 남성 32.2세·여성 29.8세

[이데일리 이진철 기자] 서울에서 지난해 처음으로 20년이상 결혼생활을 한 부부의 황혼이혼이 4년 이내의 신혼이혼보다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서울시가 부부의 날(5월21일)을 맞아 `2010 서울서베이 및 통계청 사회조사` 등의 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서울 부부의 자화상` 통계에 따르면 이혼한 부부 중 동거기간 `20년 이상` 결혼생활을 한 부부는 1990년 6.6%로 가장 낮았으나, 2010년 27.3%로 늘어났다.

반면 1990년 38.3%로 비중이 가장 높았던 결혼 후 `4년 이내 이혼`은 지난해 25.0%로 줄어, 황혼이혼이 지난해 처음으로 신혼이혼을 앞질렀다.

▲ 출처: 통계청 인구동향조사(이혼)
총 이혼 중 5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이 남편기준으로는 1990년 8.5%에서 지난해 32.7%로 4배, 아내기준으로는 같은기간 3.7%에서 22.8%로 6배 증가해 50세 이상이 총 이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늘었다.   또한, 남성의 경우 총 이혼 중 45세이상 연령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처음으로 절반을 넘었다.

2010년 이혼한 사유는 `성격차이`가 44.5%로 가장 높았으며, 뒤이어 `경제문제`(12.3%), `배우자부정`(7.8%), `가족간 불화`(6.6%), `정신적 및 육체적 학대`(4.5%), `건강 문제` (0.6%) 순으로 나타났다.

이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선 `이혼해서는 안된다`는 견해는 남성(58.7%)이 여성(51.9%)보다 높은 반면, `이혼 경우에 따라 할수도 있는 선택사항`이라는 견해는 여성(38.5%)이 남성(33.2%)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서울남성의 평균초혼연령은 1990년 28.3세에서 2010년 32.2세로 20년 동안 3.9세 높아졌고, 여성의 평균초혼연령은 같은 기간 25.5세에서 29.8세로 4.3세 높아졌다.

2010년 남성의 가장 많은 혼인연령층은 30대 초반(30~34세)으로 1990년 전체 혼인의 21.9%에서 지난해 41.1%로 증가했다. 반면 1990년 58.4%에서 2003년(40.4%)까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20대 후반(25~29세) 혼인비중은 지난해 27.5%로 줄었다.

여성의 가장 많은 혼인연령층은 여전히 20대 후반(25~29세)이지만 2000년 55.7%에서 지난해 46.7%로 줄었으며, 1990년대 7.7%에 불과했던 30대 초반(30~34세) 여성의 혼인비중이 2010년 30.4%로 크게 증가했다. 이에 비해 24세이하 여성의 혼인비중은 1990년 42.9%에서 2010년 5.7%로 줄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