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성일종 "日 세슘 우럭, 韓 오는 건 불가능…괴담보다 과학 믿어야"

김기덕 기자I 2023.07.11 05:10:00

[만났습니다①]與 우리바다지키기 검증 TF위원장 인터뷰
"후쿠시마 오염수 정화 후 방류…국제 기준치보다 낮아"
"日 오염물고기 돌아다닐 수 없어…국내 영향 없을 것"
국내 어민 대상 영어자금 등 지원책 검토…입법조치 계획

[이데일리 김기덕 경계영 기자] “일본에서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를 방류한다고 해도 우리 바다에서 잡힌 수산물에서 방사능 물질이 검출될 확률은 과학적으로, 실질적으로도 완벽하게 불가능(absolutely impossible)에 가깝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성일종 국민의힘 우리바다 지키기 검증 TF 위원장은 지난 6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이미 전 세계 과학자들이 국제적 오염 기준치보다 낮다고 판단, 방류에 문제가 없다고 결론 낸 것을 부정하면 안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성일종 국민의힘 우리바다지키기 검증 TF위원장이 지난 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이데일리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사진=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환경공학 분야 박사 출신인 성 위원장은 정치권에 발을 들이기 전에 환경 및 에너지 전문기업인 엔바이오컨스를 창업, 15여 년간 해당 기업을 이끌었던 환경 분야 전문가로 통한다. 그런 그가 인터뷰 내내 가장 강조한 것은 ‘과학의 영역’을 ‘정치의 영역’으로 끌고 와서 안 된다는 점이다. 특히 최근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문제가 없다”고 최종 결론을 냈지만, 이를 ‘깡통보고서’라며 반대하는 더불어민주당의 행태를 거세게 비판했다.

성 위원장은 “문명국가에 속했지만 과학을 부정하면서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를 미개한 나라로 추락시키는 곳이 바로 민주당”이라고 직격했다. 이어 “30년 후 국내 생태계가 파괴돼 국민들의 신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그런 논리면 엑스레이나 컴퓨터 단층촬영(CT)도 할 수 없고 신약은 어떻게 먹을 수 있냐”고 반문했다.

일본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을 우려하는 여론에 대해선 “10년이나 30년이 지나 국민적 동의가 있을 때 고민할 일”이라며 “과거에는 후쿠시마 오염수가 방류됐던 것이 문제였지만, 현재는 오염 처리수가 흘러 나가 전혀 다른 문제다. 국제적으로 인정된 기준치범위에서 방류하고, 국민 동의가 있을 때까진 수입 재개는 없다는 것이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성 위원장과 일문일답이다.

-과거 민주당이 여당 시절에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IAEA 원칙을 준수하겠다고 했지만 지금은 반대한다. 같은 맥락으로 당시 야당이던 국민의힘은 반대 입장이었지만 다시 이를 찬성한다는 지적이 있다. 여야 상황에 따라 입장이 바뀌는 이유가 뭔가.

△문재인 정부 당시 일본이 오염수를 그냥 방류하겠다고 했는데 당시 정부는 대책 없이 손을 놓고 있었다. 그래서 2020년 10월에 우리 당에서 조치를 해야 한다고 문제를 제기하고 결의안을 냈다. 결국 다음해 7월에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소속 김홍석 박사가 IAEA에 파견됐으며, 한 달 뒤 관련 TF팀을 꾸렸다. 이번에 일본 후쿠시마 현장을 시찰했던 실사단에 당시 TF팀 인원이 대부분 포함돼 있다.

-그럼 과거 국민의힘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문제를 제기해 어떤 것이 바뀌었나.

△(문제 제기 이후에) 알프스(Alps·다핵종제거설비)가 가동되고, 오염수가 아닌 오염 처리수가 나오게 된 것이다. 이런 전후 관계를 따지지 않고 민주당에서 우리 당에 결의안 내고 반대했다가 지금 찬성한다고 따지는 것은 전혀 틀린 얘기다. 오염수가 방류되는 것을 반대한 것이지 오염 처리수를 반대한 것은 아니다.

-민주당에서 IAEA 최종 보고서에 알프스 성능 검사가 빠져 있는 맹탕 보고서라고 지적한다.

△이미 IAEA에 속한 11개국이 1차에서 6차까지 검사하면서 알프스 성능을 검증했다. 알프스 필터도 8000시간이 지나면 매번 교체했다. 시운전 기간을 거치고 기계를 세팅하면서 안전도를 감안, 8000시간이라는 리드 타임을 잡아낸 것이다.

-IAEA 안전관리지침(GSS)에 오염수 방류에 다른 이익이나 피해를 명시해야 하는데 그 점도 빠졌다는 지적이 있다.

△과학이라는 것은 항상 기준치를 설정한다. 예컨대 폐수를 내보낼 때 납이나 카드뮴 등 중금속을 1~2ppm 이하로 낮추도록 기준치가 있다. 오랜 연구 끝에 과학적으로 해당 데이터를 구하고, 그 기준점보다 낮게 내보내도록 하는 것이다. 국제 기준치 이하면 안전하다고 과학자들이 인정한 것인데 왜 그것을 부정하는지 모르겠다.

성일종 국민의힘 우리바다지키기 검증 TF위원장이 지난 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이데일리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사진=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만약 일본이 올 여름께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를 방류할 경우 국내 수산물에서 방사능 물질이 검출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이럴 경우 도쿄전력 등에 구상권을 청구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피해가 발생하지도 않았는데 그걸 어떻게 가정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우려하는 세슘이나 스트론튬과 같은 방사능 물질은 원자 수가 상당히 많고 질량이 무거워 후쿠시마 앞바다에 가라앉는다. 또 해당 해역에서 오염된 우럭 등 어류는 정주성 어류이기 때문에 돌아다닐 수가 없다. 이런 이유로 우리나라 쪽으로 올 확률은 제로에 가깝다. 또 후쿠시마 인근 해역에는 3㎞ 안쪽으로 안전 그물망이 설치돼 있다.

-일본에서 또다시 지진이나 해일 등 대규모 자연재해가 발생해 원전 사고가 터졌을 경우를 가정한 대비책이 있나.

△일본에 매뉴얼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지진이 발생하면 원전 전원이 꺼지고 비상발전기가 돌아가야 하는데 (사고가 발생한) 2011년에는 후쿠시마 비상발전기가 지하에 있었다. 이래서 해일이 닥쳤을 때 발전기가 물속에 잠겨 작동이 안 됐다. 그때를 교훈으로 이제는 비상발전기를 지하가 아닌 지상으로 옮기는 등 설계상 보강 작업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

-국내에서 막연한 두려움으로 수산물 소비가 실제 줄고 있다. 어민 등 수산업계를 보호하기 위한 지원책이 있는지.

△우리 어민들을 위해 영어 자금(어업을 위한 경비)을 확대하거나 수산물을 비축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을 검토 중에 있다. 입법 사항도 있어 시간이 조금 걸릴 순 있지만, 최대한 빨리 시일 내 구제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민주당에 후쿠시마 괴담 정치를 지적하면서 정치적 책임을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어떤 책임을 말하는 건가.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가 방류 7개월 후에 국내에 들어온다고 했으니 그때 과학적으로 방사능 물질 검사를 다 해보면 된다. 만약 그때도 과학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판명되면 이를 주장했던 민주당 의원들은 총선에 나오지 말아야 한다. 과거에서부터 민주당은 광우병, 사드(THAAD), 천성산 도롱뇽, 제주 강정마을 등 괴담을 일삼아 왔다. 이번 후쿠시마 괴담은 국제 유엔(UN) 산하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11개국 검증한 결과를 뒤집는 것이라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총선에서 국민 심판은 매서울 것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