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국내 전력 수급은 석탄·가스화력이나 원자력에 기반을 둔 대형 발전소 운영 사업자가 정부 기관인 전력거래소가 운영하는 도매시장에서 사실상 국내 유일의 전력 계통 운영사이자 전력 판매사인 공기업 한국전력공사에 판매하면, 한전이 이를 기업·가정에 판매하는 형태다. 그러나 탄소중립이란 전 세계적 목표 아래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전력을 한곳에서 대량생산해 주변에 공급하는 현 방식으로 운용하는 게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태양광·풍력발전설비는 그 특성상 다수의 소규모 사업자가 기상 여건에 따라 전력을 불규칙하게 공급하기에 수요~공급이 실시간으로 이뤄지는 정부 전력계통 운용에 적잖은 부담이다.
정부가 한국형 통합발전소, 즉 VPP 모델 개발에 착수하는 건 전력시장을 이 같은 변화에 맞춰 바꿔나가기 위해서다. VPP는 소규모 분산 발전자원을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마치 하나의 대형 발전소처럼 통합 운용해 거래함으로써 정부 차원의 계통 운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생산량이 불규칙한 소규모 발전설비를 섹터 커플링(P2X) 기술로 에너지저장장치(ESS)나 충전 중 전기차, 수요반응(DR) 참여자와 한데 묶어 전력 공급량을 고르게 유지한다는 개념이다. 지금도 몇몇 발전 공기업과, 에너지 ICT 스타트업이 이 같은 VPP 모델의 사업화에 나섰으나 아직은 초기 단계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 사업을 통해 한국형 통합발전소를 운용하는 민간 사업자가 늘어나고, 이를 통해 현재 빠르게 늘어나는 국가 차원의 전력계통 운용 부담을 완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국회는 같은 날 본회의에서 이 같은 한국형 통합발전소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을 통과시켰다. 한국형 통합발전소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와 함께 한전을 거치지 않은 전력 직접거래(PPA)나 지역별 전기요금 제도 내용도 담겨 있어 전력시장 다변화를 촉진할 전망이다. 산업부는 이 법이 1년의 유예기간 이후 실제 시행되기 전까지 해당 법에 대한 하위 시행령·시행규칙을 만들어 관련 제도를 구체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