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특정국가를 겨냥한 수출 대책을 내놓을 경우 자칫 외교 마찰로 번질 수 있다는 점에서 말을 아끼고 있지만, 위기감만은 어느 때보다도 높다. 일각에선 최근 추 부총리가 베트남을 방문해 4년 만에 ‘한-베트남 경제부총리 회의’를 재개한 것도 수출 다변화 전략을 통해 대중 수출 급감의 돌파구를 찾으려는 포석으로 해석한다.
9개월째 이어진 대중 수출 부진은 중국 경기둔화, 제로코로나 정책 등이 영향을 미쳤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과거와 다른 중국 경제의 성장 과정에 기인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중국이 첨단 제조업 육성 프로젝트인 ‘중국 제조 2025’ 추진 후 반도체 등 중간재 자급률을 높이면서 한-중간 교역이 상호보완에서 경쟁관계로 전환된 데 따른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신흥경제부장은 “중국 정부가 소비 위주의 성장 방식으로 전환한 상황에서 소비재 공략으로 수출 전략을 수정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는 △의료시스템 △실버산업 △전자상거래 등을 꼽았다.
중국이 올해 경제 성장률 목표치를 역대 최저 수준인 ‘5% 안팎’으로 제시하고, 60년 만에 인구가 감소하는 등 중국 성장이 한계점에 다다랐다는 ‘피크 차이나’ 신호가 곳곳에서 감지되는 점도 한국의 긴장을 고조시킨다. 이에 따라 과도한 중국 의존도를 서서히 낮춰가고, 베트남, 인도, 중동 등 성장잠재력이 큰 신흥시장으로 수출 전선을 넓혀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제언했다. 송백훈 동국대 국제통상학과 교수(한국국제통상학회장)은 “인구 대국이자 소비 대국으로 떠오르는 인도를 더 적극적으로 공략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