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증시전망]변동성 장세 국면…경기민감·실적개선株 주목

오희나 기자I 2018.02.25 08:00:00

코스피, '일희일비' 변동성 장세 이어져..美금리인상 우려감↑
"금리·물가상승 경기개선 요인..정유·화학·금융·IT 옥석가려야"

[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국내 증시가 미국 금리 인상 우려로 변동성 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어닝시즌이 마무리 국면에 들어가면서 실적 기대주(株)와 경기민감주에 시장의 관심이 쏠릴 것으로 예상된다.

25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지난주(2월19~23일) 코스피지수는 전 주말 대비 29.69(1.25%) 포인트 오른 2451.52로 마감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 우려에 뉴욕증시가 약세를 보인 가운데 국내 증시도 일희일비하면서 변동성 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외국인이 삼성전자를 대거 팔아치우면서 지수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여기에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2.9%를 넘어서면서 금리 추가상승으로 주식시장에 부담이 이어지는 것 아닌가 우려가 높다.

이번 주 증시는 내달 1일 예정된 미국 제롬 파월 연준의장의 의회 청문회에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 자리에서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를 확인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금리인상에 온건한 성향을 뜻하는 ‘비둘기파’인 파월 의장이 의회 증언에서 점진적 금리인상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기존 통화정책 입장을 표명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시장이 우려하고 있는 연내 네 차례 금리인상 확률이 후퇴하면서 주식시장에는 안도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27일 예정된 한국은행 2월 금융통화위원회도 주식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이벤트다. 대부분의 채권 시장 전문가들이 동결을 예상하고 있지만 돌발 변수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없다.

박춘영 대신증권 연구원은 “주식시장의 랠리를 이끌던 경기회복 시그널이 최근 들어 증시하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그동안 경험하지 못한 물가상승 조짐과 이로 인한 연준의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공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금리·물가 상승과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모두 경기회복을 뒷받침하는 근거여서 주식시장 분위기 반전은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어닝시즌이 마무리 국면에 들어선 가운데 이번 주 국내 증시는 실적 개선주와 경기민감주에 관심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10년 국채 금리 3% 돌파시 심리적 저항선 돌파에 따른 주식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양호한 2월 한국 수출 및 2월 ISM 제조업지수 등을 감안하면 경기 개선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예상했다.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통상 금리상승기 포트폴리오 전략은 경기민감 대형 가치주로 집중된다”며 “세제개혁안 통과와 1조5000억달러 인프라 투자로 대표되는 트럼프노믹스 정책 기대감이 높은 만큼 미국과 선진국 비중이 높은 정유·화학·조선·기계 등 경기민감주 가운데 옥석 가리기에 주력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금리상승으로 금융주의 펀더멘털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며 “글로벌 IT산업의 중장기 긍정론은 불변한 만큼 안전지대인 반도체, 디스플레이·소프트웨어(SW) 등 IT도 긍정적”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