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기자칼럼] 다들 해도 되는데 '간송'만은 안 된다?

오현주 기자I 2022.06.29 03:30:01
[이데일리 오현주 문화전문기자] 곰방대를 빼든 옥색치마 여인이 취기로 갓까지 비딱해진 남정네 품에 슬쩍 기댄 채 묘한 미소를 흘리고 있다. 물론 점잖게 ‘여인구경’ 중인 사내도 있다. 치마를 걷어붙이고 방망이질이 한창인 빨래터 아낙들을 바위 위에서 몰래 내려다보면서. 조선 풍속화가 혜원 신윤복(1758∼1814?)의 ‘혜원전신첩’에는 30가지의 세상풍경이 있다. 한 화면에 든 다양한 에피소드를 생각하면 몇 점으로 따질 일도 아니지만.

한 점, 한 장면이 주옥같은 이 화첩은 간송미술관이 소장한 ‘국보’ 문화재 중 하나다. 간송 전형필(1906∼1962)이 1930년 일본 오사카 고미술상에서 구해 보존처리를 한 뒤 소장해왔고, 1970년 국보(당시 제135호)로 지정됐다.

‘혜원전신첩’이 새삼스럽게 뜨거워진 건 최근이다. 간송미술관이 ‘혜원전신첩’에 든 풍속화 30점을 NFT(대체불가능토큰)로 발행한 뒤 순차적으로 판매하겠단 사업계획을 내놓으면서다. 말만도 아니다. 바로 실행에 옮겼다. 먼저 그중 한 점인 ‘단오풍정’을 6개 부문, 355개로 쪼개 제작한 ‘NFT 작품’을 팔았는데. 조각당 0.08이더리움(당시 약 18만원)이란 가격과는 그다지 상관없이 355개 모두가 팔렸다.

사업의 출발은 성공적이었지만 간송미술관에는 또다시 불편한 시선이 쏟아지고 있다. ‘국보로 어떻게 돈벌이를 하느냐’는 거다. 그나마 지난해 7월 ‘훈민정음 해례본’을 NFT로 제작했을 때의 충격보단 약하다고 할까. ‘훈민정음 해례본’은 1개당 1억원씩, 한정판 100개를 팔았다.

이 불편한 시선에는 ‘쌍심지’가 켜져 있다. ‘국보’와 ‘간송’이다. ‘어떻게 국보가 영업수단이 되나’에 대한 당혹감이 하나다. 여기에 ‘아무리 소장자라도 어떻게 간송이?’가 붙어 더욱 복잡한 상황을 만든 건데.

‘NFT 사업’에 앞서 간송미술관은 “국보급 유물의 독점적 희소성을 모든 국민이 향유하도록 소장가치를 가진 NFT 기술로 재탄생시켜 영구보존한다”는 원칙을 정해놨더랬다. 정리하자면 최첨단기술로 국민향유권과 소장성을 확장해보겠다는 거다. 물론 미술관 운영에도 도움이 되긴 할 거다. 그렇다고 일회성 방편인 건 아니다. NFT 사업은 ‘간송 메타버스 뮤지엄 프로젝트’란 큰 그림 안의 작은 그림이기 때문. 그 단계를 간송미술관은 차근히 밟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간송미술관이 홈페이지에 띄운 ‘간송 메타버스 뮤지엄’. 바탕에 신윤복의 ‘혜원전신첩’에 실린 그림 일부가 동영상으로 깔려 앞으로 진행할 프로젝트를 가늠케 한다. 옆은 ‘혜원전신첩’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 간송미술관은 지난 3일 판매해 ‘완판’에 이른 ‘단오풍정 NFT’를 시작으로 ‘혜원전신첩’에 든 30점 전부를 NFT로 발행해 시장에 내놓고 ‘간송 메타버스 뮤지엄’ 프로젝트를 본격화한다(사진=간송미술관 홈페이지).


덕분에 문화재·미술계에서 수없이 덤벼든 NFT 행보 중 가장 눈에 띈다고 할 만하다. 일례로 지난 2월 국내 3대 화랑인 갤러리현대는 김환기·이중섭 등의 작품으로 ‘NFT 사업’에 뛰어들겠다고 선언했더랬다. ‘6월쯤 진행을 전하겠다’고도 했다. 마땅히 NFT의 판도를 뒤집는 ‘시즌2’를 기대케 했지만 아직까지 ‘화끈한 소식’은 들려오지 않는다. 오해는 말자. 잘못하고 있단 얘기가 아니다. 그만큼 쉽지 않은 일이란 뜻이다. 관점을 바꿔 실행을 만들고, 패턴을 바꿔 결과를 만드는 일은 누구에게도 녹록지 않다. 게다가 태생의 무게를 짊어진 간송미술관이라면 그 고민이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 않았을 터.

누구도 국보를 NFT로 제작할 수 있단 생각은 미처 못했다. 그 처음에 선 일을 단순히 ‘돈벌이 수단’으로 모는 건 부적절하다. 국보고 보물이니 수장고에 고이 모셔두는 게 최선이란 잣대론 간송의 행보를 따라잡기에도 역부족이다. 혜원이 특별한 건 ‘그림을 잘 그려서’만이겠나. 시대와 대중이 뭘 보고 싶어했는지를 제대로 꿰뚫었던 거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