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김구환 그리드위즈 대표 "성장 통해 고평가 우려 덜어낼 것"

김소연 기자I 2024.05.28 05:00:00

[IPO인터뷰] "에너지전환시대 전력관리 수요 증가"
전기차 충전기, 해외 생산라인 구축…글로벌 공략
PSR 방식 사용하되 할인율 40~50% 수준으로 높여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그리드위즈는 성장 회사로, 이익만으로 회사의 가치를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회사를 성장시키는데 이익을 재투자하는 방향으로 가려 합니다.”

다음 달 코스닥시장에 상장하는 그리드위즈의 김구환 대표는 지난 22일 서울 여의도에서 이데일리와 만나 공모가 고평가 우려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향후 성장을 통해 기업 가치를 증명한다는 계획이다.

김구환 그리드위즈 대표(사진=그리드위즈)
그리드위즈는 비교 대상 기업 그룹을 재무적으로 차이가 큰 해외 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하며, 기업 밸류에이션 부담이 위험 요소로 떠올랐다. 기업 가치를 산정하는 과정에서 주가매출비율(PSR)로 공모가를 산정하면서다.

그리드위즈는 공모가 할인 전 기업가치를 비교 기업의 주가매출비율(PSR) 평균인 4.46배에 지난해 매출 1319억원을 곱해 5884억원을 기업가치로 제시했다.

회사는 PSR을 사용하며 할인율을 40~50% 수준으로 높여 공모가 밴드를 정했다고 설명했다. 공모금액은 밴드 상단기준 560억원, 예상 시가총액은 3179억원 수준이다. 수익성 측면에서 비교 대상 기업과 차이가 크기 때문에 주가수익비율(PER)로 보면 고평가 상황이다. 이에 회사는 향후 성장성을 담보로 놓고 기업 가치를 인정받고 싶다고 강조했다.

2013년 설립된 그리드위즈는 에너지 데이터 테크 중심의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회사는 △전력수요관리(DR, Demand Response) 사업 △이모빌리티(EM, E-Mobility) 사업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사업 △태양광(PV) 사업 4개 분야에 주력하고 있다. 이중 DR 사업이 회사 전체 매출 비중의 약 84%를 차지한다.

DR사업은 전력 수요를 관리하는 사업이다. 전력 수요자인 기업(고객)의 전력 감축을 유도하고, 그 이행에 따라 받은 정산금(보상)을 고객에게 지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수료가 매출이 된다. 아낀 전력을 판매하는 시장에서 중간자 역할을 하는 셈이다.

김 대표는 “전력 시장 구조의 변화에 따라 초기 시장인 DR 사업이 커질 것으로 판단한다”며 “전기사용량은 반도체클러스터가 들어오면 더 늘어날 것이다. 원전이 늘어도 전력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것이 전력수요관리”라고 강조했다.

아직 초기 시장인 DR에서 1위 국내 업체로서 시장 선점에 더해 성장 가능성은 크다는 판단이다.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늘어날수록, 전력 수요가 늘어날수록 전력 관리·운영 시스템 필요성 또한 커질 수 있어서다.

인공지능(AI) 산업 발전과 세계적인 전력 인프라 수요 확대에 전선·전력 관련주 주가가 고공 행진하고 있다. 김 대표는 “시차가 있겠으나 전력 설비 기자재 등의 수요가 늘어난 이후에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는 효율적인 운영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그리드위즈가 하는 전력 발전량과 수요량을 관리하는 데이터 테크가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EM 사업을 확대해 DR 사업에 쏠린 비중도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EM 사업은 전기차 및 충전기에 탑재하는 모뎀과 충전기를 제조·판매하는 사업이다. 김 대표는 “EM 사업이 50% 이상 성장 보이면서 이익률에 기여할 것”이라며 “공모 자금을 통해 미국 캘리포니아·텍사스주와 동유럽 일부 국가에 현지 법인과 생산 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스마트 충전기와 중소형 ESS 등 시장 개척에 나서려 한다”며 “구체적으로 말하긴 어려우나 현지화를 위한 현지 업체 지분 투자, 인수합병(M&A)도 함께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