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소득 모아 집 장만에 5.5년…3년 후 초고령화 시대 진입

임애신 기자I 2022.03.25 00:07:00

통계청 ‘2021 한국의 사회지표’ 발표
PIR 5.5배로 전년대비 0.1배p 증가…임대료 부담도↑
지난해 총인구 감소 전환, 고령화에 부양비 부담 커져

[세종=이데일리 임애신 기자] 코로나19 사태에도 가구당 순자산은 2년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다만 주택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소득을 모아 내 집 마련에 걸리는 시간은 더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 가속화로 작년 국내 총인구가 감소 전환했고 고령화 속도도 빨라지는 추세다.

(자료=통계청)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21 한국의 사회지표’를 보면 지난해 가구당 순자산은 4억1452만원으로 전년보다 14.2%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50대(4억6666만원), 60세 이상(4억3211만원), 40대(4억3162만원), 30대(2억8827만원), 30세 미만(8590만 원) 순으로 많이 늘었다.

소득이 늘었지만 집 장만은 여전히 어렵다. 2020년 기준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PIR)은 5.5배로 전년(5.4배) 대비 소폭 증가했다. 한 가구가 연간 소득을 하나도 사용하지 않고 모은 돈으로 주택을 구입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뜻한다. 소득 증가세에 비해 주택가격 상승폭이 더 큰 셈이다.

수도권의 PIR은 전년대비 1.2배포인트 증가해 광역시 등(0.5배포인트), 도 지역(0.3배포인트)을 웃돌았다. 소득 하위계층의 PIR은 같은 기간 0.6배포인트 감소한 반면 중위계층과 상위 계층은 각각 0.5배포인트, 0.6배포인트 증가했다. 2020년 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RIR)은 16.6%로 전년보다 0.5%포인트 확대해 임대료 부담도 늘었다. 다만 10년 전과 비교하면 2.6%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수도권과 광역시 등의 RIR은 각각 18.6%, 15.1%로 전년보다 감소했으나 도 지역은 12.7%로 전년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소득 수준별로는 소득 하위계층(18.8%), 상위계층(18.7%), 중위계층(15.8%) 순으로 높았다.

우리나라 총인구는 2020년 5184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지난해 5175만명으로 감소 전환했다. 작년 합계출산율(여성 한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수)은 0.81명으로 전년대비 0.03명 감소하면서 2017년 이후 5년 연속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다. 정부의 인구 대책 추진 노력에도 저출산 기조는 더 강해지고 있는 것이다.

작년 65세 이상 인구는 857만명으로 전년보다 약 42만명 증가했다. 전체 인구 비중은 16.6%다. 통계청은 2025년 고령인구 비중(20.6%)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구구조 변화로 부양 부담은 커지고 있다. 생산연령인구대비 고령인구 비중인 노년부양비는 지난해 23.1명에서 2025년 29.7명, 2040년에는 60.5명으로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저출산이 지속되면서 학생수는 감소하고 있다. 재정당국이 세수에 비례해 지급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개편 필요성을 언급한 이유기도 하다.

지난해 교원 1인당 학생수는 초등학교가 14.0명으로 가장 많았지만 전년대비 0.2명 감소했다. 2000년(28.7명)과 비교하면 절반도 못 미친다. 유치원은 10.9명, 고등학교 9.9명으로 1년새 각각 0.5명, 0.2명 줄었다. 중학교는 11.9명으로 0.1명 늘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