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들썩]‘개학 반대’ 청원에 ‘등교 선택권’ 논란까지…개학 앞두고 시끌

장구슬 기자I 2020.05.10 00:30:00

교육부, 4일 순차적 등교수업 방안 발표
감염 우려 증가…‘개학 반대’ 청원 쏟아져
7일 세부 가이드라인 발표…논란 일단락

[이데일리 장구슬 기자] [온라인 들썩]에서 최근 온라인을 뜨겁게 달군 다양한 사연을 소개합니다.

두 달 넘게 굳게 닫혔던 교문이 3일 뒤 열립니다. 지난 4일 교육부가 초·중·고등학교 순차적 등교 수업을 결정한 이후 하루도 조용할 날이 없었습니다. 교육부가 세부 사항을 발표할 때마다 관련 검색어는 주요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에 등장했고, 관련 기사엔 댓글이 쏟아졌습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엔 오프라인 개학을 반대하는 청원이 빗발쳤습니다.

교육부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소강 국면에 접어들자 순차적 등교 수업을 결정했습니다.

지난 4일 교육부는 입시 준비가 급한 고3 학생들이 13일부터 등교하고 20일에는 고2와 중3, 초1·2학년과 유치원생들이 대면 수업을 시작하고 27일에는 고1과 중2, 초등학교 3·4학년이, 6월 1일에는 중1과 초5·6학년까지 모두 등교 수업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 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신종 코로나19 여파로 두달 넘게 미뤄온 전국 초·중·고교의 등교수업 일정과 방식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등교 개학 반대”, “선택권 달라” 국민 청원 빗발

교육부의 발표 직후 온라인은 들썩였습니다. 관련 기사엔 누리꾼들이 댓글로 찬반 논쟁을 벌였고,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엔 반대 청원이 줄줄이 등장했습니다.

학사 일정 때문에 더는 개학을 미룰 수 없고 피로감과 긴급돌봄 한계 등으로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개학을 반긴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등교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더욱 거셌습니다. 정부가 5월 등교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하면서부터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은 ‘저학년들의 우선 등교 반대’, ‘등교 선택권 허용’ 등 등교를 반대하는 청원 글이 빗발쳤습니다.

특히 고3에 이어 가장 먼저 개학하는 초등학교 저학년과 유치원생 학부모들의 청원 글이 잇따랐습니다. 면역력이 약한 데다 개인위생수칙을 지키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초·중·고등학교 개학 날짜를 발표한 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이를 반대하는 청원이 올라왔다. (사진=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캡처)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 유치원 우선 등교를 반대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은 지난 7일 기준 4만여 명 이상이 동의하며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청원인은 “학부모들이라고 왜 (학교, 유치원에) 안 보내고 싶겠나. 그러나 안전이 무조건 우선이라 생각한다. 아이들을 등교 우선순위로 지정한다는 말에 너무 놀랐다”며 “아이들의 안전을 지켜달라”고 했습니다.

일각에선 코로나19 종식까지 보호자가 등교 여부를 판단하는 ‘등교 선택권’을 요구했습니다.

7일 기준 2만 명 이상이 동의한 ‘자녀의 생명과 건강을 지킬 부모의 권리를 보장해 달라’는 글을 올린 청원인은 “여러 요소를 고려해 결정했으리라 생각하지만, 아이들의 건강에 관한 사안이기 때문에 부모에게 선택권을 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등교를 원하는 학부모들은 자녀를 등교시키고 원치 않으면 집에서 돌보게 해 달라”고 호소했습니다

그러면서 교사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EBS 학습 후 온라인으로 출석 체크 하기 △교육청 차원에서 전담자를 둬 학년별 과제 제시 △한시적인 홈스쿨링 등의 방안 등도 제시했습니다. 지역 맘카페에서는 등교 반대를 요구하는 청원 중 많은 사람들의 동의를 얻은 청원 링크를 공유하고 동의를 독려하는 게시물이 이어졌습니다.

등교를 앞두고 교실수업 중 거리두기를 위해 책상마다 골판지로 된 칸막이를 설치한 대구와룡초등학교(왼쪽), 급식실 내 투명 칸막이 560개를 설치한 대구경상여자고등학교의 모습. (사진=대구시교육청/연합뉴스)
◇구체적 지침 없어 우려 커져…교육부, 7일 가이드라인 확정

고3 등교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지난 6일까지 구체적인 방역 지침이 나오지 않아 학부모의 우려는 더 커졌습니다. 이에 교육부는 지난 7일 등교 개학을 위한 학교방역 세부지침과 학습평가 가이드라인을 확정해 발표했습니다.

박백범 교육부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신학기 개학준비 추진단 회의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특히 감염병 위기경보 ‘심각’이나 ‘경계’ 단계에선 가정학습도 교외체험학습에 포함하기로 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박 차관은 “교외체험학습을 활용해 등교수업 기간에도 보호자 책임 아래 가정 내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습니다. 학교에 사전 승인을 받아 사후 보고서를 제출하는 조건으로 허용하는 것인데 이 제도의 적용 범위를 가정학습으로 넓힌 것입니다.

이를 두고 교육부가 등교 선택권을 사실상 허용했다는 해석이 나오며 혼란을 빚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교육부 관계자는 “기존에 있던 제도이고 사전 허가를 받아 보고서도 내야 하며 기간도 열흘 내외로 정해져 있어 등교 선택권을 허용했다고 보기 힘들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교육부가 세부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여러 논란은 일단락됐지만, 온라인은 등교 수업이 안정화될 때까지 이를 둘러싼 이야기로 한동안 시끄러울 전망입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