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서울서 지하철10분거리에도 `전셋값`아파트 있다

양희동 기자I 2014.02.11 06:47:03

고양 토당동, 인천 귤현동, 성남 은행동·중앙동
전용84㎡형 아파트값 3억원 안팎으로 저렴
서울 상암과 공덕·잠실 등 10분대 진입 가능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직장인 이모(37)씨는 올해 초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토당동에 있는 능곡풍림아이원1단지 전용면적 84㎡형 아파트 한 채를 2억5000만원에 샀다. 이씨는 지난해까지 서울 성북구 정릉동의 같은 면적 아파트에서 전세 2억4000만원에 살았지만, 집주인이 전셋값을 5000만원 더 올리자 내 집 마련을 결심하게 됐다. 그런데 전세보증금으로는 김포나 파주, 인천 청라지구 등 직장(서울 공덕동)에서 차로 1시간 넘게 걸리는 곳의 아파트밖에 매입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고 열심히 발품을 판 끝에 서울 상암동에서 전철로 10분 거리인 토당동의 아파트를 전셋값 수준에 살 수 있었다. 출퇴근 시간도 서울 전셋집보다 20분이나 단축됐다.

◇치솟는 서울 아파트 전셋값… 인접한 수도권으로 눈 돌려볼까

올해 들어서도 전셋값이 치솟으면서 아예 내집 마련에 나서는 세입자들이 늘고 있다. 지난달 서울지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전년 동월 대비 4배나 증가한 것도 이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

하지만 전셋값 수준으로 구할 수 있는 3억원 이하의 아파트 매물은 대부분 대중교통이 불편한 수도권 외곽지역에 몰려 있다. 직장이 서울에 있을 경우 출퇴근 등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지하철로 10분대에 오갈 수 있는 서울 인접지역의 값싼 중소형 아파트에 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의선 능곡역을 이용해 서울 상암동을 10분대에 오갈수 있는 경기도 고양시 토당동 ‘능곡2차현대홈타운’아파트. 이 아파트 전용 84㎡형 매매가는 2억원대로 상암동 아파트 전셋값보다 1억원 가까이 저렴한 편이다. <사진제공:부동산114>
업계에 따르면 서울에서 지하철로 10여분 거리인 고양시 토당동과 성남시 수정구 은행·중앙동, 인천시 계양구 귤현동 등의 아파트 매매가 활기를 띄고 있다. 이들 지역은 전용 84㎡형 기준 아파트값이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인 3억원 안팎에 불과하다.

고양 토당동의 경우 경의선 능곡역을 통해 서울 상암DMC역 11분, 홍대입구역 16분, 공덕역은 21분이면 도착할 수 있는 지역으로 전용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값이 3억원 미만이다.

KB국민은행 시세를 보면 이달 현재 서울 상암동 상암월드컵파크3단지(540가구·2003년 입주) 전용 84㎡형 전셋값은 3억6500만원이다. 반면 총 1206가구의 대단지인 고양 토당동 능곡1·2차 현대홈타운(2002년 입주) 전용 84㎡형은 평균 매매가격이 2억8000만원 선이다. 상암월드컵파크3단지 시세(5억8000만원)의 반값 이하로 전셋값보다도 1억원 가까이 저렴하다. 가격 메리트뿐 아니라 개발 호재도 풍부하다. 토당동 인근 강매동에는 오는 2017년 40만㎡ 규모의 국내 첫 자동차 복합단지가 들어설 예정이다. 이 복합단지에는 자동차 테마파크와 튜닝 산업 육성을 위한 전문화 단지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토당동 OK공인 관계자는 “토당동은 고양에서 서울과 가장 가까운 곳이지만 신도시 지역이 아니라 아파트값이 저렴한 편”이라며 “최근 들어 아파트 매물을 보러오는 서울 상암·공덕동 일대 직장인들이 부쩍 늘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과 가까운 전셋값 수준의 중소형 아파트 ‘눈길’

인천공항철도 계양역을 이용해 상암DMC역 16분, 공덕역 23분, 서울역을 27분에 오갈 수 있는 인천 귤현동 일대도 실수요자들의 관심을 끄는 곳이다. 귤현아이파크(394가구·2004년 입주) 전용 84㎡형은 현재 평균 시세가 2억4500만원 선이다. 지난해 7월 입주한 계양센트레빌3단지(454가구) 전용 84㎡형도 3억4000만원 선으로 상암동 전셋값 수준에서 매입할 수 있다. 인근 귤현공인 관계자 “지하철로 서울과는 불과 한 두 정거장 거리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데도 집값이 워낙 싸다보니 매매 문의가 거의 서울 쪽에서 온다”며 “거의 모든 아파트가 지은 지 10년 미만인데다 단지마다 지하철역까지 셔틀버스를 운영해 주민 만족도 역시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서울 잠실과 지하철로 18분 거리인 성남 은행동과 중앙동도 서울 세입자들의 갈아타기 수요로 매매 거래가 활발한 편이다. 은행동 현대아파트(1258가구) 전용 84㎡형 매매가는 2억8500만원 선으로, 은행동에서 8호선 남한산성역을 통해 18분이면 도착할 수 있는 잠실역 인근 리센츠아파트 전용 84㎡형 전셋값(6억4000만원)의 절반에도 훨씬 못미친다.

지하철 8호선 단대오거리역(잠실역 19분 거리) 역세권인 중앙동 롯데캐슬(545가구)은 입주 2년차 신규 단지로 매매가는 전용 59㎡형이 3억4000만원선, 84㎡형이 4억4000만원 선이다. 같은 면적의 잠실권 아파트 전셋값보다도 2억~3억원 싸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팀장은 “전세난 속에 매매시장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최대한 싸면서 교통도 편리한 매물을 찾으려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며 “서울과 가깝고 값이 싼 아파트는 대부분 수도권 구도심 지역인만큼 개발 호재와 발전 가능성을 꼼꼼하게 따져본 뒤 매입해야 향후 시세 차익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에서 지하철로 10분대에 오갈수 있는 수도권 주요 지역 아파트 시세. <자료:KB국민은행>
▶ 관련기사 ◀
☞ 서러운 월세족.. 전입신고·전세대출·소득공제 '그림의 떡'
☞ "전세 구하기 어렵다보니.." 묻지마 계약 속출
☞ 올해 3~5월 6만가구 입주..전세난 완화될까
☞ 광교신도시 '전세 광란'..서울·수도권 전셋값 상승률 1위
☞ 서울 강남지역 연립주택도 전세가율 60% 넘었다
☞ 전세난에 지친 무주택자‥'연 1.5% 대출'로 집 사볼까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