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핫피플]SW 불모지서 키워낸 회사 24년만에 매각하는 56년생 CTO

김국배 기자I 2021.11.05 03:28:57

박대연 티맥스소프트 창업자
시스템SW 개발해 외산 제치고 시장 점유율 1위, 국산 SW 원천 기술 개발력 입증
'한국판 윈도' 개발에 집념 보였지만 기대엔 부응 못해
자금난에 회사 매각…클라우드 등 투자할 듯

[이데일리 김국배 기자] ‘소프트웨어(SW) 불모지’ 한국에서 오라클, IBM과 같은 글로벌 IT기업과 경쟁하며 국내 시장을 지켜냈다는 평가를 받지만, 때론 허황돼 보이는 목표를 내걸어 ‘몽상가’라는 말도 듣는다. 국내 대표 SW 기업 티맥스소프트를 창업한 박대연 회장 얘기다.

그런 그가 창업한 지 24년만에 티맥스소프트 매각에 나서면서 다시 한번 화제의 중심에 섰다.

박대연 티맥스소프트 회장 (사진=티맥스소프트)


시스템 SW 국산화…고집스런 OS 개발로 위기도

직원들 사이에선 ‘교수님’이라 불리는 박 회장(전 한국과학기술원 교수)이 시스템 SW 회사인 티맥스소프트를 세운 건 1997년이다. 지금도 그렇지만, 티맥스소프트처럼 시스템 SW를 만드는 회사가 전무했던 시절이다. 개발자 출신의 박 회장은 당시 개발진과 의기투합해 웹애플리케이션서버(WAS) ‘제우스’를 만들었다. 박 회장의 도전은 성공했다.

제우스는 오라클, IBM 등 걸출한 글로벌 IT기업을 제치고 국내 시장에서 40%가 넘는 탄탄한 점유율을 자랑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SW 원천 기술 확보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증명한 사례다. ‘한국 SW의 자존심’이라는 자화자찬도 수긍이 간다.

티맥스소프트가 흔들리기 시작한 건 운영체제(OS)를 개발하면서부터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와 같은 국산 OS를 개발하겠다는 큰 꿈은 그 자체만으로 응원을 받기도 했지만 결과는 쓰라렸다. 2009년 처음 베일을 벗은 티맥스OS(티맥스윈도)는 기자회견장에서 시연 도중 멈춰버렸다. 오픈소스 활용 사실을 숨겼다는 의심에 회사 신뢰도까지 손상됐다.

이후 티맥스소프트는 경제 위기 등 악재가 겹치며 유동성 위기에 빠졌고 워크아웃에도 들어갔다. 이때 OS를 개발했던 관계사 티맥스코어가 매각되며 OS 개발의 꿈도 꺼지는 듯했다. 하지만 그의 도전은 멈추지 않았다. 2012년 워크아웃을 졸업한 회사는 2019년 티맥스OS를 다시 내놨다. 10년 전에 비하면 성능이 나아지긴 했지만 뛰어나진 않았다.

사업 성과도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 망분리 환경 하에 있는 공공기관의 PC에 일부 공급된 정도다. 10년에 걸친 OS 개발은 그의 고집과 집념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1956년생으로 예순을 훌쩍 넘긴 그는 여전히 티맥스소프트의 최고기술책임자(CTO)을 맡고 있다.

‘황금알’ 낳아온 티맥스소프트 매물로…운명은?

그가 성공과 실패를 번갈아 하는 새 IT세상은 변했다. 더는 OS 개발에만 매달릴 수 없게 됐으며, 클라우드·인공지능(AI) 등 새로운 기술 개발이 필요해졌다. 티맥스소프트도 더 많은 개발자를 뽑았다. 그만큼 인건비 부담이 늘면서 부채는 쌓여갔다. 재무구조 등으로 기업공개(IPO)마저 여의치 않았다.

결과적으로 박 회장은 ‘황금알’을 낳아온 티맥스소프트를 매각하게 됐다. 매각 대상은 창업자이자 최대 주주인 박 회장의 지분을 포함한 경영권 지분 60.7%다. 2030년까지 매출 100조원을 올리겠다고 공언한 지 2년만의 일이다. 현재 MBK파트너스, 맥쿼리자산운용, 스카이레이크에쿼티파트너스 등 사모펀드 운용사 세 곳과 클라우드 관리(MSP) 회사인 베스핀글로벌이 인수 최종 후보군(숏리스트)에 올라있다. 연내 매각이 마무리될 전망이다. 회사측은 최대 1조원 규모의 매각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사의 지난해 연 매출은 1008억원, 영업이익은 355억원이다.

업계에서는 박 회장이 티맥스소프트를 매각한 자금으로 ‘급한 불’을 끄는 동시에 데이터베이스(DB) 솔루션을 제공하는 티맥스데이터, 클라우드 플랫폼을 개발하는 티맥스A&C에 투자할 것으로 예상했다. OS와 달리 DB 솔루션 ‘티베로’는 오라클의 공세 속에서 국내 시장에서 어느 정도 입지를 잡아가고 있다고 평가된다. 적합한 기업에 인수만 된다면, 티맥스소프트가 새롭게 국내외 사업을 확장할 가능성도 크다.

IT업계 관계자는 “티맥스소프트는 시스템 SW의 국산화로 수 조원의 외화 유출을 막고 고급 기술 엔지니어 양성에 기여함으로써 ‘SW 사관학교’ 역할을 했다”며 “시대적 대세인 오픈소스 기술 도입과 활용이 상대적으로 늦었고, 국민과 투자사들에 신뢰감을 주지 못한 점은 아쉬운 부분”이라고 평했다.

박대연 회장은…△1956년생 △미국 오리건대 컴퓨터 사이언스 석·박사 △티맥스소프트 설립(1997년)△전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1998년 1월~ 2007년 3월)△티맥스소프트 회장 겸 CTO(현)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