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사설]과학 무시, 괴담 선동에 들러리...공영 방송 이래도 되나

논설 위원I 2023.08.28 05:00:00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이동관 신임 방송통신위원장을 임명했다. 더불어민주당의 반대로 인사청문회 보고서가 재송부 기한인 24일까지 채택되지 않자 임명을 강행했다. 윤 정부에서 청문보고서 채택없이 임명된 16번째 장관급 인사다. 민주당이 이 위원장 임명을 “언론 장악 시도”라며 결사 반대한 데다 방통위 상임위원 후속 인선이 늦어진 탓에 파행 운영이 불가피하지만 공영 방송의 투명성과 객관성 제고를 강력히 주장해 온 이 위원장의 성향에 비추어 볼 때 방송 개혁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민주당의 비난 공세 속에서도 이 위원장이 공영 방송 정상화 소신을 굽히지 않은 데서 보듯 방송 개혁은 정파와 이념을 떠나 더 미룰 수 없는 과제다. 언론의 생명과도 같은 공정성·객관성 및 독립성 등 어느 것에서도 문제를 드러내지 않은 구석이 없기 때문이다. 24일 시작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보도는 가장 가까운 사례다. 국민의힘에 따르면 같은 날 저녁 뉴스에서 MBC는 26개 기사 중 15개를 오염수 보도로 내보냈다. KBS는 26개 기사 중 13개를 오염수 뉴스로 채웠다. 국민 건강과 안전에 오염수 방류 뉴스만큼 화급한 것은 없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

그러나 더 심각한 것은 내용이었다. “코로나는 비교도 안 돼, 다 죽게 생겼다”거나 “안전하다 하지만 오염수도 손실 배상” 등 불안을 조장하거나 정부 비판에 열을 올리는 것이 상당수였다. 우리 국민들이 먹는 수산물이 방사능에 오염된다는 주장은 날조나 다름없다는 과학자들의 식견과 연구 결과를 무시한 일방적 보도다. 당 대표의 사법 리스크와 의원 돈 봉투 살포 의혹 등에서 비롯된 민심 이탈을 막기 위해 민주당이 매달린 괴담 선동의 들러리와 뭣이 다른가.

어민단체가 “우리 바다와 수산물을 오염시키는 장본인은 정치인과 언론, 가짜 전문가들”이라고 절규했음을 안다면 공영 방송은 과학에 바탕을 둔 보도로 국민을 이해시켜야 옳다. 공영 방송이 편파적이고 무책임한 보도로 국민의 지혜를 흐리게 한다면 이보다 불행한 일은 없다. 오염수 보도는 국내 여론을 극과 극으로 갈라칠 수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가장 큰 위협은 가짜뉴스”라고 말했지만 공영 방송은 공정하고 객관적인 사실 보도로 시비를 가려야 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