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코스피 흔들리는데…금 ETF 담아볼까

원다연 기자I 2024.01.23 00:00:12

이달 국내 금현물 사상 최고치 기록
금리인하 기대·지정학 리스크에 상승
ACE KRX금현물 ETF 1개월 2.46%↑
금 채굴기업 담은 ETF도 처음 상장돼
“금리인하 반영, 2~3분기 추세적 상승”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올 들어 국내 증시의 조정 장세가 이어지면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금 현물 가격이 사상 최고치까지 오르며 현물보다 손쉽게 투자할 수 있는 금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에도 개인 투자자들의 자금이 몰리고 있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RX금시장에서 순도 99.99% 금 현물 1g의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0.15% 오른 8만7260원에 거래를 마쳤다. 역대 최고가를 기록한 지난 16일(8만7730원)에 비해서는 소폭 내렸지만 여전히 8만7000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올 들어 코스피 지수가 7.2% 떨어지는 동안 금 가격은 1.07% 상승했다. 금은 이자가 없는 만큼 금리가 하락하면 금을 보유하는 데 따른 기회비용이 줄어들어 상대적인 매력도가 높아지는데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금 가격의 상승 흐름을 이끌고 있다.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함께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이 지속되고 있단 점도 금 가격 상승세를 뒷받침하고 있다. 세계금협회에 따르면 세계 중앙은행들은 지난해 들어 3분기까지 800톤의 금을 구입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규모다. 장희종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주요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이 지속 중인 상황에서 금 가격 흐름 대비 금 보유량이 여전히 낮다는 점도 금 가격 상승 가능성을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사상 최고가를 기록한 국제 금 가격은 1트라이온스당 2000달러선을 유지하고 있다.

금 가격 상승세에 실물보다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는 금 관련 ETF에도 개인 투자들의 자금이 몰리고 있다. 개인 투자자들은 올 들어 국내에서 유일한 금 현물 ETF인 ‘ACE KRX금현물’을 47억원 넘게 순매수했다. 해당 ETF는 최근 1개월간 2.46%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개인 투자자들은 지난 18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상장된 금 채굴기업 관련 ETF인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도 2000만원 가까이 순매수했다. 해당 상품은 미국, 캐나다 등의 금 채굴 관련 51개 종목에 투자한다.

박승진 하나증권 연구원은 “금리 인하 전망에 의한 가격 상승 기대와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 및 확산에 따라 발생하는 안전자산 수요의 영향으로 금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고 있다”며 “금 채굴기업 ETF의 경우 금에 직접 투자하는 것과 비교하면 증시 분위기에 영향을 받고 편입 기업들의 배당 지급 시 주가 상승에 의한 자본 차익 외에 분배금을 통한 수익이 발생한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밝혔다.

금 가격은 추가 상승 여력이 남아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오재영 KB증권 연구원은 “금 가격은 미국의 금리 인하가 반영되기 시작할 2~3분기 내 추세적 상승을 전망한다”고 밝혔다.

서울 종로구 한 귀금속 판매점에 골드바가 진열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