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의료계 이미 마비 수준..'확진자 폭증'에 인력 부족 심화

김은비 기자I 2022.03.23 04:00:00

셀프재택치료·신속항원확진에도 '확진자 폭증'
병상 가동률 안정적이어도 인력 부족 심해
환자 치료 외에도 행정 업무·민원 전화 폭증
의료진 사이서도 확진자 속출해
"정부서 지원 하지만 별다른 효과 없어"

[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서울 지역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이 장기간 이어지면서 의료체계는 한계에 이른 모양새다. 정부에서는 의료 현장의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동네 병·의원으로 확진자 판정 및 치료를 확대하고, 재택치료자에 대해서도 스스로 건강관리를 하도록 방침을 하고 있지만 워낙 확진자 및 사망자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업무는 전혀 줄지 않고 있다. 또 보건소 및 병원 의료진 사이에서도 확진자가 속출하면서 인력 부족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거리두기 완화, 유동인구 증가 등으로 다소 주춤하고 있는 확진자 수가 재차 폭증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전문가용 신속항원 ‘양성인정’에 붐비는 동네병원 (사진=연합뉴스)
22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서울 지역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214만8186명으로 집계됐다. 서울 시민 5명 중 1명은 코로나19에 감염된 셈이다. 서울의 하루 확진자 수는 최근 한 달여간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과 함께 매주 2배 가량 늘어나며 가파르게 증가했다. 지난달 23일 처음으로 4만명대를 돌파하고 8일 7만명대, 12일 8만명대, 17일 12만명대를 기록하며 빠른 확산세를 이어가다 이번 주 들어 4만~6만명대로 다소 진정된 모습이다

서울시 병상 가동률 숫자만 봐서는 아직까지 병상은 다소 여유가 있다. 이날 0시 기준 서울시 병상 가동률은 중증환자 전담병상 66.5%, 준-중환자병상은 71.9%, 감염병전담병원과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각각 47.1%, 32.7%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이미 병원 업무가 포화 상태에 다다랐다고 말한다. 치료자 관리 외에도 행정업무 및 민원 전화, 재택치료자관리까지 보이지 않는 업무들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서울시 코로나19 전담 병원 한 관계자는 “병상은 아직 절반 정도로 넉넉하지만, 재택치료자 전화 진료 및 약 처방 등에 따른 행정적 업무가 어마어마하다”며 “게다가 의료진 사이에서도 확진자가 계속 나오다보니 병원에서 가동할 수 있는 모든 인력을 동원해서 업무 지원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동네 병·의원도 연일 신속항원검사 및 처방을 받으려는 시민들로 북새통을 이루긴 마찬가지다. 정부가 지난 14일부터 전문가가 시행한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 판정이 나올 경우 PCR 검사 없이 양성으로 인정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는 PCR검사와 달리 바로 검사 후 바로 확진 판정을 받고 약 처방까지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선별진료소보다 찾는 사람들이 많다. 평소 동네에 자주가던 한 내과에 검사를 받으러 간 성북구 거주 20대 김 모씨는 “검사 대기 시간이 1시간이라고 문 앞에 적혀 있었다”며 “좁은 병원에 갑자기 환자들이 몰리니 간호사가 일일이 응대를 해주지도 못하고 있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몇 시간씩 길게 줄을 늘어섰던 보건소 선별진료소 PCR검사 대기 줄도 예전보다 확연히 줄어들어 10여분이면 가능하게 됐다. 그럼에도 보건소 및 구청 역시 여전히 업무가 마비 상태라고 호소한다. 동네 병·의원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재택치료자에 대한 관리를 보건소 및 구청에서 하는데, 하루에도 3000명 안팎의 신규 확진자가 나오면서다.

서울시 한 구청 관계자는 “재택치료 일반관리군은 ‘셀프 재택치료’라고 하지만 오히려 시민들이 불안함에 미열 및 기침 등 사소한 증상으로도 전화를 해 민원 전화가 끊이지 않고 있다”며 “오죽했으면 따로 콜센터를 마련했지만 감당하기 힘든 수준”이라고 토로했다. 다른 구 보건소 관계자는 “정부에서 업무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대책들도 확진자 증가 속도가 워낙 빠르니 아무 소용이 없다”며 “거리두기는 계속 완화되는데 이 상황이 언제 끝날지 답답하기만 하다”고 했다.

757일만에 되찾은 일상

- 다 끝난줄 알았던 코로나…재유행 언제 오나요?[궁즉답] - 확진 7227명…지원금,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만(종합) - 코로나19 재정지원 축소…격리자 생활지원비·유급 휴가비 줄여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