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상위 1%' 슈퍼리치는 어떤 MBTI일까

장병호 기자I 2024.01.03 00:05:00

대한민국 부자보고서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272쪽|지식노마드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2024년 새해, 누군가는 부자가 되고 싶다는 꿈을 마음에 품을 것이다. ‘대한민국 부자보고서’는 그런 이들을 위한 ‘부자 안내서’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2012년부터 작성해온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부자들은 누구인지, 이들은 어떻게 부를 축적했는지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책은 지난 10여 년 동안 부자의 기준이 어떻게 변했는지부터 부자들은 펜데믹 위기를 어떻게 극복했는지, 직업·거주지·기부활동 등을 통해 살펴본 부자들의 특성은 무엇인지 등을 찬찬히 소개한다. 이 중에서 대한민국 상위 1% ‘슈퍼리치’(금융자산 100억원 이상, 또는 총자산 300억원 이상을 보유한 사람들)의 MBTI를 살펴본 내용이 눈길을 끈다. 책에 따르면 슈퍼리치 중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 MBTI는 ESTJ였다. ESTJ는 일반인 사이에서는 9%의 비율에 불과했지만, 슈퍼리치에서는 27%의 비율을 보였다. 책은 “ESTJ는 흔히 ‘지도자형’, ‘경영자형’으로 평가받는다”며 “부자의 특징인 실행력, 성실함과 무관하지 않다”고 분석했다.

부자의 모든 것을 담았지만, 씁쓸한 분석 결과도 있다. 부자들의 소득을 살펴보면 근로소득에 의존하는 비중이 현저히 작았다. 일반인들의 연 평균 소득은 8100만원 정도인데, 이 중 절반 이상인 5000만원이 근로소득이었다. 반면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부자들의 경우 1년에 평균 3억 8000만원의 소득을 올리고 있고, 이 중 3분의 1이 근로소득이며 나머지는 사업소득 또는 재산소득이었다. 열심히 일만 해서는 부자가 될 수 없는 현실을 보여주는 사례다. 혹은 부자가 되기 위해선 이런 현실과 마주할 자신이 있어야 한다는 날카로운 일침이 될 수도 있겠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