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마켓인]하반기 M&A 분수령으로 떠오른 해운·보험 大戰

김성훈 기자I 2023.08.24 08:54:45

새 주인 찾아 나선 해운·보험사
M&A 시장에 10곳 잇따라 참전
'긍정적인 시그널 아냐' 평가속
대체투자처 등장…협상도 영향
이해관계자도 역대급 예의주시

[이데일리 김성훈 기자] 이렇다 할 성과가 없는 하반기 M&A(인수합병) 시장에서 눈여겨보는 업종이 있다. 국내 해운사와 보험사가 그 주인공이다. 업계에서는 해운·보험 M&A 성패가 하반기 시장 분위기를 좌우할 분수령이 될 것으로 입을 모은다.

업종별로 새 주인을 찾아 나선 매물들이 이례적으로 쏟아지면서 해운·보험에 연관된 자본시장 참여자들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시장에서는 이들 섹터에서 적극적인 손바뀜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자칫 M&A 시장 전체 경색 국면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내리고 있다.

[그래픽=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23일 자본시장에 따르면 M&A 시장에 나왔거나 거론 중인 해운·보험사는 역대로 가장 많은 상황이다. 먼저 해운사는 몸값만 5조~8조원에 달하는 국내 최대 해운사 HMM(011200)이 매각 작업에 나선 가운데 중견 벌크선사 폴라리스쉬핑, 현대LNG해운 등이 매각 작업을 진행 중이다. SK해운 최대주주인 PEF 운용사 한앤컴퍼니도 국내외 매각 주관사를 선정하고 SK탱커선 사업부 인수 후보군을 접촉 중으로 알려졌다.

보험사도 유사한 양상을 띠고 있다. MG손해보험, KDB생명, ABL생명, 롯데손해보험, 악사손해보험 등 손보·생보사 가릴 것 없이 잇따라 M&A 시장을 노크하면서 분위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시장에 나왔거나 나올 채비를 하는 해운·보험사만 9~10곳에 육박하는 상황이다. 시장에서도 ‘이런 적이 없었다’고 표현할 정도다.

해운과 보험업계는 국내 경제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분야로 꼽힌다. 오랜 기간 국내 경제의 한 축으로 자리하면서 흡족한 실적을 냈고, 수많은 투자와 손바뀜이 이뤄졌던 곳이다.

그런데 이번에는 이들 업종을 바라보는 분위기가 사뭇 달라졌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공교롭게도 한꺼번에 동종업계 매물이 쏟아진 상황이 긍정적인 시그널은 아니라는 평가 때문이다.

한 PEF 운용사 관계자는 “비슷한 업종을 영위하는 M&A 매물이 모이면 절대적이든, 상대적이든 비교를 하게 되고 우위를 따질 수밖에 없다”며 “특히 ‘대체 투자처’ 등장에 협상력이 약해질 수 있는 점을 무시할 수 없다”고 말한다.

특히 해운·보험 업계는 매각 난이도가 까다로운 업종이라는 설명이다. 당국의 눈치도 봐야 하고 이른바 ‘싸이클’이라는 고저 흐름과 국내외 경제 정세도 따져봐야 한다. 언뜻 같아 보이지만, 원매자들이 원하는 구체적인 분야가 무엇이냐에 업체별 희비가 엇갈릴 가능성도 크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이들 매물에 대한 M&A 교통정리가 제대로 이뤄질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매물마다 엮여 있는 원매자와 잠재적 원매자들이 수십 곳이 얽혀 있는 상황에서 적극적인 손바뀜이 일어나지 않고 답보상태가 유지된다면 시장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한 자본시장 관계자는 “엑시트(자금회수)가 제때 이뤄져야 새 투자도 하는 것인데, 매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전체 시장 분위기가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