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車반도체 확보에 팔 걷고 나섰지만…뾰족수 안 보이네

김상윤 기자I 2021.03.26 00:00:00

매주마다 민관협의체 실무회의..수급 대응
해외 외교채널 가동해 대만 정부 등 협력

지난해 10월 2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22회 반도체대전’(SEDEX)에서 관람객이 전시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세종=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차량용 반도체 공급 여건이 악화일로로 치달으면서 업계뿐만 아니라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수출 주력상품인 자동차 생산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는 우려에 단기, 중단기 대책을 마련하고 다각도로 외교채널을 동원해 해외 공급망을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생산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발생하는 문제여서 당장 해법을 찾기가 쉽지 않은 상태다.

25일 정부와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자동차, 반도체 업계 실무자들을 불러 차량용 반도체 공급부족 문제 등을 논의했다. 지난 4일 발족한 ‘미래차-반도체 연대 협력 협의체’를 본격 가동한 것이다. 앞으로 협의체는 실무자를 중심으로 매주마다 회의를 연다.

정부는 단기 수급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차량용 반도체 수입신고 심사 시 서류 제출, 검사 선별 절차를 최소화하는 등 24시간 통관 지원체계를 운영하면서 계약된 물량이 빠르게 수입되도록 지원하고 있다. 코로나19 관련 긴급 물자 수출입에 준하는 관세 행정 체계를 적용했다. 아울러 차량용 반도체 조달 업무와 관련한 기업인이 출ㆍ입국할 경우 코로나 19 격리면제 심사를 신속하게 하고 있다.

정부는 대만 정부에 원활한 차량용 반도체 공급을 위해 협조를 요청하기도 했다. 대만 TSMC가 글로벌 파운드리(위탁생산) 시장에서 MCU(마이크로 콘트롤 유닛) 공급의 70%를 점유하고 있어, 외교채널을 통한 협력을 모색하는 중이다.

정부 관계자는 “현지에 있는 대사관 등을 통해 대만 정부와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면서 “민간기업 간 계약문제라 한계는 있지만, 최대한 할 수 있는 역량은 최대한 투입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은 최소 3분기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정부는 단기간에 해결할 수 없는 문제라 보고 중·장기 대응책도 마련했다. 차량용 반도체 연구개발에 2022년까지 2047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단순 반도체뿐 아니라 차량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컴퓨팅 칩, ‘레벨4’ 수준 자율주행차 부품 개발로 지원 분야를 넓혔다. 사업화 속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 가전ㆍ산업ㆍ모바일 반도체를 차량용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차량용 반도체의 98%은 수입산으로 해외 의존도가 높다”며 “향후 미래차 수요가 늘면서 반도체 수급 불안이 커질 수 있어 이번 품귀 사태를 기화로 국내 차량용 반도체 사업을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