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해외 가축병 사전연구엔 0원, 뒷수습 예산은 2692억

김형욱 기자I 2019.06.10 00:00:04

사후약방문식 가축전염병 대책
가축전염병 연구예산 오히려 줄어…신종 연구는 손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국내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지난 5일 오후 경기도 양주시 동물위생시험소 실험실에서는 직원들이 동물의 혈청검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은 경험해보지 못한 외래 가축전염병이다. 국내에 한번 유입되면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진다. 철저한 연구로 외려 가축전염병을 대비해야 하지만, 국내 연구는 걸음마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대로면 2011년 3조원의 피해를 낸 구제역처럼 사후약방문이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농림축산검역본부의 가축질병 연구개발을 위한 농림축산검역검사기술개발사업에 배정된 예산은 총 84억6300만원이다. 1년 전보다 0.1%(900만원) 줄었다. 이 중에서 ASF처럼 아직 국내에 발생한 이력이 없는 가축전염병에 대한 예산은 하나도 없다. 해외 연구를 찾아 국내에 적용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일반 가축방역 관련 예산은 늘어나고 있다. 올해 2692억5000만원이 배정됐다. 작년보다 10.9% 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예산은 조류 인플루엔자(AI)나 구제역처럼 이미 국내 유입된 전염병과 관련한 방역 예산이다. 가축방역과 예방접종, 농가의 살처분 보상금 등이 대부분이다.

사후 대응만으론 ASF의 위협을 제대로 막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중국에서 주변국으로 확산하기 시작한 올 들어서야 부랴부랴 해외 사례를 토대로 관련 연구 준비에 나섰다. ASF 백신을 연구 중인 국내 바이오 기업과의 연계도 검토할 예정이다. 그러나 동물전염병에 대한 연구를 맡은 농림축산검역본부 여건상 계속 늘어나는 신종 가축전염병에 대해 깊이 연구할 인력이나 예산 자체가 사실상 없는 상황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다. ASF에 강한 돼지 종자를 육성하는 것도 현 단계에선 먼 얘기다.

한 방역당국 관계자는 “유입 우려가 있는 외래 가축전염병이 늘어나는 만큼 사전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라면서도 “한 연구자가 기존 수행 연구과제 3~5개씩 수행하면서 새로운 과제를 추가하는 건 한계가 있는 만큼 이에 맞는 전문가를 보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