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서울지하철노조 18일 파업예고 철회…임단협 합의(종합)

김용운 기자I 2013.12.18 00:21:36

임금인상 2.8%, 정년연장 합의
서울시 지하철 파업부담 덜어 9년 연속 무분규 타결

박정규 서울지하철노동조합 위원장과 박원순 서울시장이 17일 밤 서울메트로 노사 임단협 협상 타결을 기념해 악수를 하고 있다(사진=서울시)
[이데일리 김용운 기자] 서울시가 지하철 파업에 따른 부담에서 벗어났다.

서울시는 서울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와 서울지하철노동조합이 17일 오후 11시 30분께 2013년 임단협 협상을 타결했다고 밝혔다.

노사간 핵심쟁점이었던 정년은 공사의 경영 여건을 감안해 단계적으로 연장하고, 퇴직금 누진제(퇴직수당)는 폐지하기로 합의했다. 또 승진 적체는 순차적으로 해소하기로 했다.

따라서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이 적용되지 않는 1955년~57년생은 단계적으로, 이밖에 55년생 1년, 56년생은 1년 6개월,57년생은 정년을 2년 연장한다. 58년생부터는 고령자법이 2016년부터 적용됨에 따라 60세 정년이 보장된다. 감사원 지적사항이었던 퇴직금 누진제(퇴직수당)는 2014년부터 폐지하기로 했다. 또 2013년도 임금은 정부의 예산편성기준을 준수해 2012년 총 인건비 대비 2.8% 인상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임단협은 지난 7월 25일부터 약 4개월간 17차례 교섭을 거쳤으며, 핵심 쟁점이었던 정년 연장과 퇴직금 누진제 폐지에 대해 노사간 첨예한 입장 차이를 보여 한때 교섭이 결렬되고 서울지방노동위원회 조정을 거치는 등 난관에 봉착했다. 결국 서울지하철노조는 18일 오전 9시부터 파업을 예고해 서울시의 부담을 가중시켰다.

시 관계자는 “노사 양측이 상호 양보하는 성숙한 타협을 통해 극적으로 합의안을 도출, 2005년 이후 9년 연속 무분규 임단협 타결이라는 성과를 일궜다”고 말했다.

철도노조 파업

- 철도노조 "지도부 자진출석 보류"..경찰과 대치 - 철도노조 지도부 자진출석 임박한 듯…내일 입장 발표 - 철도국장 “민간 가능” 발언에 철도소위 ‘화들짝’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