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9년 연속 영업 적자를 기록한 HMM에 대해 7조4000억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해 구조조정을 진행했다. 그 결과 2020년 2분기부터 흑자 전환했고, 지난해에는 매출 13조7941억원, 영업이익 7조3775억원의 역대 최고 실적을 내며 9년간의 적자를 단박에 만회했다. HMM은 올해 상반기에도 매출 9조9527억원, 영업이익 6조858억원을 기록,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올렸다. 정부의 구조조정이 성공한 사례는 HMM이 처음이다.
시장에서는 정부가 HMM의 구조조정이 성공한 만큼 지분 정리를 서둘러 민영화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하지만 지금껏 정부는 신중한 입장을 견지해왔다. 고유가, 코로나19 이후 항만 적체 등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섣부른 민영화는 위험하다고 본 것이다. 조 장관은 지난 5월 기자간담회에서 “당장 (HMM의) 민영화 등에 대해 생각하고 있지 않다”면서 “금융구조 속에서 경제적 여건이나 상황, 해운 시황을 두루 보며 판단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하지만 영구 전환사채의 주식 전환으로 정부 지분이 늘어 HMM의 매각이 점점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HMM은 한국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약 40%의 지분을 갖고 있다. 이외에 산은과 해진공이 보유한 HMM 영구채 등 신종자본증권 규모는 2조6798억원(3월말 기준)에 달한다. 내년부터 만기가 도래하는 영구채를 전부 주식으로 전환할 경우 산은과 해진공 등이 보유하게 되는 HMM 지분은 74.1%에 이른다.
조 장관은 “평균적으로 주식 가격으로 본다면 35% 정도의 지분을 확보해 (민간에서) 경영권을 확보하려고 해도 10조원 가까운 돈이 투입된다”면서 “그렇게 된다면 민영화가 상당히 어려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해수부 관계자는 “중장기적 민영화 방향성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있지만 구체적 지분 정리 계획에 대해서는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면서 “관계부처와의 협의 등을 통해 구체적 시점과 방향을 마련해나갈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한편 정부는 해운시장에 대한 민간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여건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선박 투자자에게 세제 혜택을 주는 ‘선박 조세리스 제도’는 내달중 도입 계획이다. 또 해진공과 산은 등이 공동 운영하는 21억달러 규모의 공공선박투자 펀드는 36억달러로 확대한다. 해운산업 불황기에 대비해 선박 매입·임대를 전문으로 하는 리스사를 2026년까지 설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