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천원 소주 없다”…정부 압박에 주류업계 ‘백기투항’(종합)

남궁민관 기자I 2023.02.27 17:24:01

소비자 분노 확산에 정부까지 실태조사 나서자
소주 1위 하이트진로 “인상 요인 있지만 당분간 동결”
맥주 1위 오비맥주도 기존 입장 뒤집고 인상 보류 결정
각 업계 1위 결정에 경쟁사도 ‘점유율 경쟁’ 등 고려 동참할 듯

[이데일리 남궁민관 기자] 국내 주류업계가 소주·맥주 출고가격을 당분간 동결키로 했다. ‘소주 1병 6000원’ 시대가 올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면서 불같이 번진 소비자들의 분노에 정부까지 실태조사로 압박하고 나서자 더 이상의 검토 없이 곧장 ‘백기 투항’하고 나선 셈이다.

서울의 한 마트에 진열된 소주 제품.(사진=연합뉴스)
국내 소주업계 1위 하이트진로(000080)는 27일 “당분간 소주 가격 인상을 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공식 입장을 냈다.

하이트진로는 “최근 소주 가격 인상과 관련해 국민과 소비자, 자영업자들의 혼란이 커지고 있다”며 당분간 동결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가격 인상 요인은 존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현재 쉽지 않은 경제 상황에서 소비자와 자영업자들의 부담을 덜어 드리고자 결정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당초 소주 가격 인상에 대한 우려는 업계가 아닌 소비자들로부터 불거졌다. 지난해 국내 주요 업체들의 가격 인상 조치에 따라 식당가에선 이미 소주 1병에 6000원을 넘나드는 상황이었다. 여기에 연초 병뚜껑과 빈병 등 가격이 인상되면서 올해 다시 한번 소주 가격이 오를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졌다.

정부 역시 최근 실태조사에 돌입하며 업계를 압박하고 나섰다. 조사에 앞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출석해 “소주 등 품목은 우리 국민들이 정말 가까이 즐기는 물품”이라며 “물가 안정은 당국의 노력, 정책도 중요하지만 업계 협조가 굉장히 필요하다”고 업계를 정조준하기도 했다.

이같은 분위기는 맥주업계까지 영향을 미쳤다.

맥주업계는 오늘 4월부터 맥주 1ℓ당 기존 855.2원에서 885.7원으로 세금이 오르면서 적어도 세금 인상분만큼은 출고가격에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소주를 시작으로 주류 가격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자 국내 맥주업계 1위 오비맥주는 이날 당분간 맥주 출고가격 조정은 없다고 못박았다.

소주·맥주 업계 1위 업체들이 각각 제품 가격을 당분간 인상하지 않기로 하면서 동종업계 경쟁업체들도 이에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

주류업계 관계자는 “통상 소주는 하이트진로, 맥주는 오비맥주 등 업계 1위 업체가 가격 조정의 주도권을 갖는다”며 “소주 2위 업체인 롯데칠성음료(005300), 맥주 2·3위 업체인 하이트진로와 롯데칠성음료도 가격을 올리긴 어렵게 됐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엔데믹 전환에 따라 가속화될 각 시장 점유율 다툼도 가격 인상을 자제하게 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주류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주류 점유율 경쟁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리딩 기업이 가격을 동결했는데 후발주자가 가격을 올릴 순 없다”며 “더군다나 출고가격을 단 50원, 100원 올려도 식당가에선 1000원 단위로 인상되기 때문에 점유율 경쟁에 악수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