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교육위원회 정찬민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4년간의 대학 신입생 소득분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정 의원은 국가장학금을 지급하는 한국장학재단의 자료를 토대로 SKY 대학 신입생의 소득수준을 분석했다. 국가장학금은 소득 8구간까지만 지원되는데 지원 자격을 총족하지 못하는 9·10구간을 고소득층으로 분류한 것. 올해 기준 소득 9구간의 월 소득 인정액은 월 949만8348원 이상, 10구간은 월 1424만7522원 이상이다.
정 의원은 “올해 1학기 기준 SKY 대학생 중 전체 장학금 신청자는 48%”라며 “나머지 52%는 소득분위 9·10구간 학생들로 어차피 못 받을 것을 알기에 처음부터 신청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했다.
실제로 올해 1학기 SKY 대학 신입생 중 장학금 신청자를 대상으로 소득구간을 나누자 9·10구간이 55.1%를 차지했다. 이 중에서도 소득분위 최고 등급인 10구간(37.9%)이 9구간(17.2%)의 2배를 넘었다.
SKY 대학 중에서도 서울대 신입생의 9·10구간 비율이 62.9%로 가장 높았다. 9구간 18.2%, 10구간이 44.7%다. 이어 고려대는 신입생의 51.3%가, 연세대는 52.2%가 고소득층인 9·10구간으로 분류됐다.
문제는 SKY 대학 신입생 중 고소득층 비율이 매년 상승하고 있다는 점이다. 2017년 SKY 대학의 고소득층 비율은 41.1%에 그쳤지만 2018년 51.4%, 2019년 53.3%, 2020년 55.1%로 올랐다.
특히 SKY 대학의 의대 신입생의 경우 10명 중 무려 7명 이상이 고소득층으로 분류됐다. 올해 1학기 이들 대학 의대 신입생 중 9·10구간 비율은 74.1%로 2017년 54.1%에 비해 20%나 급증했다. 서울대 의대는 2017년 45.8%였던 고소득층 비율이 올해 84.5%까지 올랐다. 3년 새 고소득층 비율이 무려 38.7%나 폭증한 것.
정 의원은 “문재인 정부가 말로는 공정과 정의를 외쳤지만 결과는 불평등의 심화였다”며 “현 정부의 교육의 희망사다리 복원 정책이 작동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이어 정 의원은 “부모의 소득에 따른 교육지출 능력 차이가 자녀의 학력 격차로 이어져, 부가 학력으로 대물림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현 정부의 입시정책을 원점에서부터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