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랑새 지운 머스크, 뉴스 헤드라인도 없앤다

이소현 기자I 2023.08.23 15:31:54

X 타임라인에 기사 헤드라인·텍스트 삭제
뉴스 줄여 더 많은 게시물 게재…'슈퍼앱' 전략
"체류시간 늘리고, 다른 구독 서비스 선택 의도"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트위터의 상징이었던 파랑새 로고를 없애면서 엑스(X·옛 트위터)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이번엔 기사 링크 등을 공유할 때 헤드라인 등이 표시되지 않는 방안을 추진한다. ‘슈퍼앱’으로 도약을 선언한 X가 타임라인에 더 많은 게시물을 노출하는 식으로 이용자들의 체류시간을 늘리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일론 머스크(사진=로이터)


22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는 자신의 X 계정에 “X 플랫폼에 나타나는 뉴스 기사에서 첫 부분 이미지만 남기고 헤드라인(제목)과 기사 텍스트(본문)를 제거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외관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X에 게시되는 기사는 이미지와 헤드라인, 간단한 텍스트, 링크 등이 타임라인에 카드 형태로 표시된다. 그간 뉴스를 제공하는 언론 매체들은 이용자의 기사 클릭을 유도해 독자를 이끌었다. 만약 기사 헤드라인과 텍스트가 없어지면, 뉴스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고, 이용자의 시선도 끌지 못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통신은 “X의 콘텐츠 변경 시도는 트래픽을 유도하려는 언론사의 노력을 복잡하게 만드는 또 다른 조치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X에 표시되는 타임라인에 뉴스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면 더 많은 게시물이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여기에 이용자들의 뉴스 링크 클릭이 줄면서 X에 체류하는 시간이 더 늘어날 수도 있다. 로이터는 “사용자들이 X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더 자세한 내용을 위해 구독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머스크는 또 다른 게시물을 올려 “더 자유롭게 글을 쓰고, 더 많은 수입을 원하는 언론인들은 X에 직접 글을 게시하라”고 강조했다.

일론 머스크가 X에 뉴스 헤드라인, 텍스트 삭제를 알리는 게시글(사진=일론 머스크 X계정 갈무리)


머스크의 인수 이후 X는 지난 몇 달간 이용자가 보낼 수 있는 쪽지 수와 볼 수 있는 트윗 수를 제한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시도했다.

그는 지난 18일엔 이용자가 다른 계정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제거할 것이라고 예고해 논란이 됐다. 학대·스토킹 피해자에게 기본적인 보호를 제공하는 안전장치로서 기능을 없애는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에 머스크는 지난 20일 자신의 X 계정에 “차단 기능이 사라지는 것을 불평하는 사람들을 차단하는 것은 꽤 재미있다”고 언급해 변화의 뜻을 굽히지 않았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