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전문가들이 말하는 NFT 법률 이슈는?…김앤장, 웨비나 열어

한광범 기자I 2022.04.28 09:56:28

서울대 기술과법센터·금융법센터와 공동 개최

[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김앤장 법률사무소가 지난 27일 서울대 기술과법센터·금융법센터와 공동으로 ‘최근 NFT(대체불가능토큰) 관련 주요 법률 이슈 및 전망’ 웨비나(Webinar)를 개최했다.

이번 웨비나는 우리사회의 화두로 떠오른 NFT의 법률 이슈와 전망에 대해서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자 마련됐다. 정계성 대표변호사는 환영사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과 이를 기반으로 한 국경을 넘나드는 다양하고 새로운 시도가 이뤄지면서 기존의 상식과 패러다임에 신선한 파동을 일으키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러한 흐름의 중심에 있는 NFT는 기존 가상자산 산업의 영역을 예술, 메타버스, 엔터테인먼트, 게임, e커머스, 헬스케어, 실물자산 등의 영역으로 펼쳐 나가면서 블록체인 생태계에 다양성을 불어넣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상조 교수(서울대 기술과법센터)는 “NFT에 관한 쟁점들을 잘 정리하고 향후 과제를 발굴해주실 것을 기대한다. NFT에 대한 합리적 규제를 마련하는 것은 4차산업 혁명에도 반드시 필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위비나에선 △최근 NFT 동향과 과제(김원상 그라운드X 사업전략지원팀장) △최근 NFT 관련 IP 이슈(이대희 고려대 교수) △NFT 게임에 대한 최근 규제 동향(나덕중 김앤장 변호사) 등을 주제로 발표가 진행됐다. 패널로는 송옥렬 교수(서울대)가 좌장을 맡아 이춘수 변호사(김앤장), 이정수 교수(서울대학교), 김계정 변호사(김앤장), 박주영 금융혁신과장(금융위원회), 박정일 회계사(김앤장)가 참석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김원상 사업전략지원팀장(그라운드X)이 ‘최근 NFT 동향과 과제’를 주제로 “NFT는 크리에이터를 위한 경제 기반을 마련하여 롱테일 크리에이터의 탄생을 이끄는 역할을 한다”며 “크리에이터와 팬을 하나의 이익공동체로 연결한다. NFT는 크리에이터가 디자인의 주도권을 가질 수 있게 한다”고 말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이대희 교수(고려대)가 ‘최근 NFT 관련 IP 이슈’를 주제로 “NFT 자체는 IPFS에 탑재된 디지털 저작물에 대한 토큰이므로 그 자체로는 저작권과 무관하다. 디지털 저작물도 디지털 파일에 불과하므로 소유권의 대상이 될 수 없어 NFT가 저작물의 소유권을 의미하지도 않는다“고 설명했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나덕중 변호사(김앤장)가 ‘NFT 게임에 대한 최근 규제 동향’을 주제로 “현재 NFT 게임은 우리나라에서 사행성을 이유로 서비스되지 못하고 있다. 실제 사건에서 우연성 측면으로는 자동사냥 기능이 문제되고 있고, 유상성 측면에서는 NFT를 이용자들 간에 거래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되고 있다”며 “현재 게임물관리위원회와 게임회사 사이에서 법적 분쟁이 진행 중이고, 법원의 판단이 어떻게 나올지 귀추가 주목된다”고 말했다.

네 번째 세션은 ‘NFT 이슈와 전망’을 주제로 토론이 진행됐다. 송옥렬 교수(서울대)가 좌장을 맡아 이춘수 변호사(김앤장), 이정수 교수(서울대), 김계정 변호사(김앤장), 박주영 금융혁신과장(금융위원회), 박정일 회계사(김앤장)가 패널로 참석했다.

이춘수 변호사는 “오리지널 아날로그 작품을 무단으로 NFT화하거나, 위작을 제작해 민팅하는 경우는 전통적인 저작권의 복제권 침해 문제로 해결할 수 있을 것 같다. 디지털 저작물은 무한 복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권리 소진의 개념과는 친하지 않은데, 이 부분에 대한 새로운 법리 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NFT가 유통될 때 NFT 최초 발행자에게 일정량의 수수료를 지급하도록 하고 이는데, 관련하여 추급권이 어느 정도 인정될 수 있는지 논의가 필요하다. NFT와 관련하여 상표권도 문제될 수 있는데, 블록체인 기반의 대체 불가능한 토큰 등을 상품명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정수 교수는 ”토큰은 NFT와 FT(Fungible token)로 나눠볼 수 있다. FT에 스테이블 코인에 대하여 장기적으로 지급결제에 관한 기본법률의 제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고, 투자성 토큰에 관하여는 이익분배형은 증권규제가 적용될 것으로 보이나 전매차익형에 대하여는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NFT의 경우, NFT가 담보화되거나 유동화될 수 있는데, 관련하여 자본시장법상 수탁자산 개념의 확대가 필요할 수 있다. 한편, NFT가 물건인지 권리인지에 관하여 물건의 정의, 담보물권 등에 관한 민법 개정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계정 변호사는 “NFT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외국에서도 아직까지는 특화된 법률이 없고, 증권이나 가상자산에 관한 법률의 적용 여부가 문제된다. NFT의 증권성에 관하여는, NFT의 투자계약증권 해당 여부가 문제될 수 있고, 투자계약증권에 해당한다면 자본시장법상 증권신고서 등 규정이 적용될 수 있다. NFT의 가상자산성에 관하여는, FATF 및 금융위원회의 입장에 따르면 NFT가 일반적으로 가상자산은 아니며 결제수단이나 투자수단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가상자산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NFT 사업을 할 때 증권성이나 가상자산성에 관한 리스크를 낮추는 방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박정일 회계사는 “NFT에 대한 세법상 취급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 NFT의 민팅 단계에서 NFT의 매각이나 경품 제공 시 소득 구분이 어떻게 될지, 원천징수의무는 발생할지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NFT의 투자 단계에서 NFT를 가상자산이나 투자계약증권으로 보면 내년부터는 기타소득이나 금융투자소득으로 과세될 수 있으며, 저작권 등 IP자산으로 보면 기타자산 양도소득으로 과세될 리스크가 있다. NFT 수익 분배 단계에서는 투자자의 수취 소득 과세, 발행자나 거래소의 원천징수의무 등이 문제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NFT 사업 시 사전에 세무 이슈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