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K-소비재, 유행 아닌 문화…소비재 수출 업체 리레이팅 중”

박순엽 기자I 2024.05.29 08:09:50

하나증권 보고서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최근 화장품과 음식료의 수출이 늘어나는 상황에 한국 소비재가 유행이 아닌 문화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을 포함한 해외 확산을 통해 성과를 내는 소비재 업체들의 리레이팅도 이어지리란 평가다.

(표=하나증권)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한국 콘텐츠의 수요 급증이 한국 재화에 대한 관심 상승으로 나타났다”며 “코로나 기간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플랫폼의 사용량 증가로 더욱 쉽게 장기간 빠르게 접하게 되면서 그 어느 때보다 확산이 빨랐다”고 말했다.

또 물가 상승, 이자 비용 부담이 합리적 소비, 저가 소비의 니즈를 높인 점도 K-소비재의 인기를 끌어올렸다고 평가했다. 해외 시장으로선 한국에 관한 관심이 증가한 데다 합리적인 가격의 맛있고, 질 좋은 제품을 알게 된 셈이다.

우선, 미국에서 한국 화장품의 수요는 강한 편이다. 아마존·세포라·얼타에서 다양한 한국 브랜드가 순위권에 포진돼 있을 정도다. 미국 화장품 시장은 전 세계 1위 규모로 2023년 163조원, 2013~2023년 기간 연평균 4% 성장하는 시장이다.

박 연구원은 코로나를 계기로 오프라인 지배적이던 시장이 이커머스 확대로 기회가 생기고 있다고 봤다. 국내 화장품의 기회 요인으론 △소비 계층의 확대 △혁신적인 제품군 포진 △합리적 가격대 △낮아진 진입 장벽을 꼽았다.

박 연구원은 “지난해 수입액 기준 한국 화장품의 미국 시장 침투율은 1.9% 수준에 도달했다고 판단한다”며 “성공 사례가 하나둘 나타나고 기회가 보이는 만큼 추진력을 좀 더 높여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박 연구원은 미국 내 한국 라면 열풍도 확대되리라고 평가했다. 지난해 미국 향 한국 가공식품 수출액은 △‘건강’으로의 이미지 확장 △뛰어난 맛과 품질 △한류를 기반으로 한 K-Food 관심 증대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지난해 라면 수출액은 전년 대비 66.2% 증가했고, 한국 색이 다소 강한 카테고리인 ‘김치’와 ‘장류’도 같은 시기 각각 37.4%, 32.9% 증가했다. ‘고추장’의 약진은 제2의 ‘굴소스’나 ‘스리라차’ 소스로의 도약 가능성을 열어둘 수 있어 긍정적이라는 평가다.

또 최근 한류 영향으로 떡볶이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쌀가공식품’의 수출액도 전년 대비 32.7% 증가했다. 김밥과 조미김의 인기로 김 수요도 큰 폭 증가했다.

박 연구원은 “‘K-Food’가 ‘라면’에서 ‘Street Food’까지 확장되고 있다”며 “다양한 글로벌 니즈에 대응 가능한 종합가공식품업체에 재차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