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프린젠스 식중독은 퍼프린젠스 균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해 발생한다. 퍼프린젠스 균은 하천이나 지하수 등에서 흔히 관찰되며 사람과 동물의 장, 분변에도 널리 분포하고 있다. 육류와 튀긴 음식, 용기에 보관된 국이나 수프에서 잘 검출되고 열에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다른 식중독균들과 달리 봄철에 발생 빈도가 높은 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총 47건의 퍼프린젠스 식중독 사고에서 1,655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기간별로 보면 봄(3~5월)에 24건의 사고 중 771명의 환자가 발생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다음으로 가을(9~11월)에 501명이 퍼프린젠스 균에 노출됐고 겨울(293명)과 여름(90)이 뒤를 이었다. 발생 원인은 돼지고기 등 육류 음식으로 인한 중독이 666명으로 가장 많았고 도시락 등 복합 조리 식품에서 294건, 곡류(31)와 채소(26) 순으로 환자가 발생했다.
퍼프린젠스 균은 75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면 대부분 파괴된다. 하지만 일부는 높은 열에도 살아남아 음식이 식어가는 과정에서 다시 증식하면서 식중독을 일으킨다. 주로 국을 끓인 뒤 상온에서 오랫동안 식히거나, 육류를 냉장 보관하지 않은 상태일 경우 퍼프린젠스 균이 발견될 확률이 높다. 또, 퍼프린젠스 균은 산소가 없는 곳에서 발생하는 혐기성 세균이기 때문에 음식을 큰 용기에 대량으로 상온 보관하는 것 역시 퍼프린젠스 식중독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보통 12시간의 잠복기를 거친다. 증상은 일반적인 식중독 증세와 비슷하게 나타난다. 설사와 복통, 탈수 증상이 나타나며 면역력이 낮은 아이나 고령층의 경우에는 증세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다. 증세가 일주일 이상 지속된다거나 탈수 증상이 심하다면 병원을 찾아 진찰을 받는 게 바람직하다.
퍼프리젠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음식물 보관에서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봄에는 아침과 저녁 시간대 기온이 낮아 음식을 하루 정도 실온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단, 기온이 올라가는 낮 시간대는 퍼프린젠스 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일 뿐만 아니라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일교차가 큰 날씨에 발생할 위험이 크다. 따라서 음식은 반드시 냉장 보관하는 게 좋다. 또, 많이 남은 음식은 한 용기에 보관하지 않고 여러 용기에 나눠 담아 산소가 음식에 충분히 닿을 수 있도록 자주 저어야 한다. 보관한 음식을 재섭취 할 때는 한번 가열한 음식이라도 75도 이상으로 재가열해 섭취하는 게 퍼프리젠스 식중독을 예방하는 방법이다.
세란병원 소화기센터 장준희 부장은 “식중독으로 인한 구토, 설사 등의 증세는 몸에 들어온 균을 배출하기 위한 일종의 방어기제라고 할 수 있다”며 “다만 탈수 증세가 심하거나 증상이 평소보다 오래 간다고 판단된다면 병원을 찾는 게 좋다”고 설명했다. 이어 “겨울이 막 끝나고 날이 점차 따뜻해질 무렵에 안일한 마음으로 음식을 보관, 섭취했다가 식중독으로 고생하는 환자들이 적지 않은 편”이라며 “식중독은 사계절 내내 조심해야 할 소화기 질환인 만큼 위생적인 식생활 습관을 들이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