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블린대학교(DCD) 내에 의약품 표준생산시설(cGMP)시설을 갖추고 주로 바이오의약품의 생산전문 인력을 키운다. 지난해에만 4300명이 이곳을 거쳐 그중 80%가 아일랜드 내 제약바이오 기업에 들어갔다. 빅파마 화이자, 머크, 로슈, 릴리 등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주목할 점은 과거 아일랜드가 주력 산업인 IT(정보통신) 산업의 몰락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구조를 바이오제약 산업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하는 과정에서 나이바이트를 만들었다는 점이다.
신흥 제약강국으로 급부상한 벨기에도 참고할 만하다. 벨기에는 ‘큰 세금 혜택’이라는 당근책으로 인재를 유인하고 있다. 벨기에 정부는 연구개발(R&D)에 대한 원천징수세를 80% 면제하고 특허료를 최대 80%까지 감면해주고 있다. 이런 덕분으로 경상도 크기에 불과한 벨기에에 존슨앤드존슨, 화이자, 노바티스, 머크 등 글로벌 상위 30개 제약기업 중 29개사가 R&D센터나 지사 등을 두고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 대표는 “벨기에처럼 한국에서도 외국 자본이 투자된 법인이 국가 R&D에 참여할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해야 한다”며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시 외국기업이 한국에 R&D 센터 등을 설립할 경우 가산점을 부여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싱가포르도 정부 주도로 별도 교육기관을 설립해 바이오인력을 공급하고 있다. 대졸 인력 중에서 ‘떡잎’이 보이는 바이오 인재를 선별해 전액 국비로 18개월간 교육해 배출하고 있다. 주로 생산인력이 양성된다. 싱가포르 역시 법인세 등의 세금 지원도 적지 않다.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법인세율이 17%지만 바이오기업에는 최대 15년간 세금을 면제하거나 40년간 5~15% 낮은 법인세율만 매긴다.
기업 유치가 어렵다면 우수한 국내 한인 과학자나 기술자를 국내로 끌어들여야 한다는 제언도 있다. 대표적인 나라는 이스라엘이다. 이스라엘은 아이코어(I-Core)를 통해 부족한 R&D 인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 따르면 미국 과학기술 연구진 중 25%, 캐나다의 16%가량이 유대인 연구원이다. 이스라엘은 해외 우수 유대인 인재들에게 귀국 즉시 60만 달러(7억1000만원원)를 연구실 장비 구입비 등으로 지급한다. 이후에도 연간 12만(1억4000만원) 달러씩 5년간 연구보조비를 지원한다.
국내에도 바이오 전문인력 양성소가 없는 것은 아니다. 보건복지부도 지난 7월 충북 청주 오송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에 바이오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한국바이오인력개발 센터’을 열었다. 이 센터는 실무형 바이오의약품 생산 전문인력을 공급하기 위한 교육기관이다. 다만 지금까지 2기수, 120명이 과정을 수료해 아직 걸음마 단계라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