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대형마트가 점포 효율화에 나서면서 문을 닫는 점포 수가 확연히 늘고 있다. 2017년 이마트 3곳과 롯데마트 1곳, 2018년 이마트 3곳과 홈플러스 2곳, 롯데마트 1곳, 2019년 이마트 3곳과 롯데마트 2곳, 2020년 홈플러스 3곳과 롯데마트 12곳 등이다.
점포가 없어지면 그곳에서 일하던 이들도 자연스레 실직하게 된다. 한국유통학회가 발표한 ‘정부의 유통규제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대형마트 점포 1곳의 평균 매출이 500억원이라고 가정할 경우 폐점 시 해당 점포 직원 945명, 인근 점포 직원 429명 등 총 1374명의 고용이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려했던 고용 감소는 현실화하고 있다. 국민연금공단 사업장별 가입자 수(직원 수)를 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이하 같은 기간) 대형마트 3사(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는 총 6만 474명으로, 지난 2019년 12월 말(6만 2328명)보다 1854명(2.97%) 감소했다. 코로나19 등에 따른 일시적인 영향이 전혀 없는 건 아니겠지만, 감소 추세는 신축년 한층 가팔라질 전망이다. 이커머스 업체들의 공세가 갈수록 거세지고 있는 데다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업체들이 속속 소매 유통업에 진출하고 있어서다.
슈퍼마켓뿐만 아니라 다른 업종도 동반 부진이 예상된다. 대형마트 이용 후 주변 점포를 동시에 이용하는 고객은 전체의 60.86%였다. 열에 여섯은 대형마트 밖에서 다시 지갑을 연다는 얘기다. 주로 요식업(62.19%)에서 이뤄졌으며 대형마트를 들른 뒤 의류전문점(10.60%)이나 전통시장(10.25%)을 방문하는 이들도 적지 않았다. 대형마트가 사라지면 이런 외부에서 유입되는 신규 고객이 줄 수밖에 없는 구조인 것이다. 조 교수는 “대형마트의 집객효과가 주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면서 “이는 설문조사와 신용카드 가맹점 결제 데이터를 통해 모두 입증됐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