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솔루션은 지난해 모듈 생산능력이 1.7GW로 퍼스트 솔라 대비 65% 수준에 불과했으나, 지속적인 증설 추진으로 2025년에는 93% 수준으로 생산능력 차이가 크게 줄어든다는 것이 이 연구원의 설명이다. 그는 “차입금 차이에도, 첨단소재/화학(지분법 포함) 자산의 장부가치와 엇비슷한 미국 태양광 자산의 생산능력을 감안할 경우 시가총액이 3배 이상 차이 나는 점은 합리적이지 않다”고 전했다.
이 연구원은 향후 한화솔루션이 미국에 증설을 고려하면 향후 성장세가 기대된다고 짚었다. “미국 통합 태양광 콤플렉스(카터스빌)의 계획된 부지는 약 40만평인데 이는 역내 통합 설비보다 덜 촘촘한 생산 라인, 보관 창고, 사무실 면적을 가정하더라도, 계획된 생산능력을 한 번 더 증설할 수 있는 규모”라며 “한화솔루션의 오랜 화학 사업 영위 DNA의 고려할 경우 연간 1조원 이상의 인센티브 수취 가능하고, 향후 대규모 태양광 추가 투자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연구원은 “태양광 콤플렉스가 완공되는 2025년까지는 20개월 정도밖에 남지 않았는데 태양광 업황의 단기적인 변동이 있겠으나, 방향성은 우상향할 것이고, 의도적으로 갇힌 미국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고려해 낙관적인 시각을 유지한다”며 “또한 중국 폴리실리콘, 동남아시아 모듈의 미국향 수출 증가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가 완료되는 시점에는 미국 시장이 다시 닫힐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