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이데일리가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코시스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인 가구의 월평균(분기별 합산을 12개월로 나눔) 경상소득(근로·사업·재산·이전소득)은 230만 8000원으로 전년대비 0.2% 감소했다. 1인 가구 경상소득이 감소한 것은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4.6%) 이후 11년 만이다.
특히 지난해 경상소득이 줄어든 가구는 1인 가구가 유일하다. 4인 가구(659만 9000원)는 3.9% 늘었고 2인 가구(365만 9000원)도 소폭(0.8%) 증가했다. 전체 평균 증가 폭은 1.5%다. 2009년 금융위기 때에도 1인 가구만 경상소득이 감소했다. 경제위기 때마다 1인 가구가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다는 얘기다.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침체에도 대부분 가구 소득이 늘어난 이유는 재난지원금, 고용안정지원금 등 정부가 막대한 재정을 투입해 소득을 보전한 영향이 크다. 지난해 이전소득(지원금 등 공적이전과 용돈 등 사적이전)은 월평균 66만 5000원으로 1년 전보다 23.9%나 늘었다.
그러나 가구 수에 따라 편차가 컸다. 이전소득 증가폭은 4인 가구는 62.8%에 달했으나 1인 가구는 가장 낮은 4.9%에 그쳤다.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공공일자리에서는 수혜를 입어 근로소득은 증가한 반면 1인 가구는 아이돌봄 등 공공서비스 지원뿐 아니라 전국민재난지원금 등 현금 지원대상에서도 배제된 경우가 많은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삼식 한양대 정책학과 교수는 “가구원수가 여럿이면 경기 타격을 완충하는 효과가 있지만 1인 가구는 ‘올 오어 낫씽(전부 아니면 전무)’이기 때문에 코로나19 충격이 더 컸을 수 있다”며 “맞춤형 정책 지원을 할 때 1인 가구의 소득이나 여러 경제 상황을 고려해 가중치를 두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