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교육부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전체 고등교육기관(대학·전문대학·대학원대학)의 전임교원 수는 9만902명으로 전체 교원(22만3800명)의 40.6%에 불과하다. 나머지 59.4%(13만2898명)는 시간강사(34%)와 겸임·초빙·비전임교원(25.3%)이 차지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전임교원이 맡는 대학 강의비율도 높지 않다. 교육부가 최근 발표한 ‘2018년 10월 대학정보공시 결과’에 따르면 올해 2학기 기준 전임교원 강의 담당비율은 65.4%로 전년 2학기(66.5%)에 비해 1.1%포인트 하락했다. 대학에 개설된 강의 10개 중 전임교원이 맡고 있는 강의는 7개가 되지 않는다는 얘기다.
|
대학이 법정 교원정원을 모두 충족할 경우 전임교원확보율은 100%가 된다. 하지만 교육부가 지난 8월 발표한 ‘2018년 교육기본통계’를 보면 일반대학의 전임교원확보율은 재학생 기준 84.6%에 불과하다. 전문대학은 이보다 열악한 60.3%다. 일반대학 183곳 중 전임교원확보율 100%를 충족한 대학은 27개교로 14.7%에 그쳤다. 대다수의 대학이 해당 규정을 위반하고 있다는 의미다.
교육계에서는 대학들이 전임교원확보율 100%를 충족하도록 강제해 우수한 시간강사를 전임교원으로 흡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임순광 한국비정규직노조 위원장은 “교수 당 학생 수를 법령으로 규정한 것은 최소한의 대학교육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서지만 대학들은 이 중 20% 계약직(비정년트랙) 교수로 채우고도 이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가 정규직(정년트랙) 교수로 전임교원확보율 100%를 채우도록 관리·감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은희 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도 “법정 기준인 전임교원확보율을 모두 충족하는 대학은 전체 일반대학의 15%(27개교)에 불과하다”며 “대학을 운영하는 법인(사립대)이나 국가(국립대)가 재정을 확대해 교육의 질을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