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생각이 내 생각‥틸러슨 '조건없는 北만남' 철회

안승찬 기자I 2017.12.16 07:09:37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 /AFP


[뉴욕=이데일리 안승찬 특파원]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은 15일(현지시간) “북한과의 대화가 이뤄지기 전에 위협적 행동의 지속적 중단이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틸러슨 장관은 이날 뉴욕 유엔본부에서 ‘비확산 및 북한’을 주제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장관급 회의에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지난 12일 “날씨 이야기라도 좋다. 일단 전제조건 없이 만나자”라고 제안하며 북한에 조건 없는 파격 대화를 제안했지만, 며칠 만에 다시 조건을 달은 셈이다.

틸러슨 장관의 제안에 대해 백악관이 “지금은 대화할 때가 아니다”라며 사실상 반대 의사를 내비치면서 미국 국무부의 대북 대책의 방향도 선회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이날 틸러슨 장관의 발언은 한결 강경했다. 그는 “미국은 평양 정권이 세계를 인질로 잡는 것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현재는 물론 앞으로 북한의 무모하고 위협적인 행동에 대해서는 계속 책임을 지울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틸러슨 장관은 최근 북한이 발사한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 ‘화성-15형’ 발사를 거론하면서 “북한은 미국 본토를 타격할 능력을 갖췄다고 주장했다”면서 “우리는 이 같은 주장을 공허한 협박으로 간주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런 위협에 직면할 경우 어떤 나라도 가만히 있는 것은 용납할 수 없을 것”이라면서 “북한의 침략 시 이에 대응해 모든 필요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단호히 밝혔다.

강경 발언을 쏟아냈지만, 틸러슨 장관은 이날도 대화를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북한과의 전쟁을 추구하거나 원하지 않는다”면서 “외교가 해법을 만들기를 희망한다. 북한과 소통채널을 계속 열어둘 것이다. 북한은 테이블로 돌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보리 회의 이후 기자들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같은 입장이냐고 묻자 틸러슨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정책은 확실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과 정책을 추구하는 데서는 틈이 없다”고 말했다.

北 잇따른 도발

- 또 '고강도 대북제재' 꺼낸 美..다시 멀어지는 北美대화 - 트럼프·마크롱, "北 비핵화 할때까지 대북압박 지속" 합의 - 北 김정은, 새해 첫 공개활동…국가과학원 찾아 "제재 극복" 강조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