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2050 탄소중립위원회’ 발표에 따르면 2050년 우리나라의 전력 수요는 1165.4~1215.3TWh(테라와트시)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기차 보급 확대를 비롯해 수송, 산업, 건물 등 전반에 걸쳐 전력 수요가 늘어 2018년 대비 3배 이상 확대될 것이란 관측이다.
박 교수는 “원자력 비중을 무작정 높일 수 없는 상황에서 ‘2050년 탄소중립 달성’과 ‘전력 수요 대응’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이루기 위해선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의 확대는 필수적”이라면서 “늘어난 재생에너지로 전력 간헐성과 변동성이 커지는 만큼 이에 맞춘 수요관리를 위해 한전 독점이 아닌, 발전사업자와 전력 수요자를 직접 연결해주는 전력구매계약(PPA) 등 다양한 거래 방식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수위 경제2분과 전문위원을 맡았던 박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에 앞서 전력 판매시장을 점진적으로 개방하고, 전기요금의 원가주의 원칙을 확립하겠다는 내용의 ‘전력시장 개편방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민영화 논란이 불거지며 큰 파장을 불러왔다. 전력 판매 시장을 다수가 참여하는 경쟁구조를 만드는 것이 전력시장 민영화를 의미한다는 이유에서다.
박 교수는 “민영화의 ‘민’자도 꺼넨 적 없다”며 펄쩍 뛰었다. 그는 “전력시장의 독점체제 완화로 다양한 전기요금 가격구조를 만들어 효과적으로 수요를 관리하고, 탄소중립에도 기여하려는 취지”라며 “이미 선진국들은 그런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석유, 천연가스 등 에너지가격이 폭등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만 아무 일 없다는 듯 전기요금을 동결해 한전이 7조8000억원의 사상 최대 적자를 냈다”며 “한전의 경영실패는 주주가, 정책 실패는 국가가 책임지는데, 공공요금 원가 상승은 국민들이 일부 분담하는 것이 맞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다양한 에너지 서비스기업들이 탄생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도 전력시장의 경쟁체제 도입으로 기대되는 효과다. 박 교수는 “전력시장에 진입 장벽을 없애고, 원가에 기반한 요금 부과가 이뤄지면 외국처럼 전력 소비 컨설팅 등 다양한 에너지 서비스 기업이 생겨날 것”이라며 “벤처 활성화와 함께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현 전력산업 구조에 대해 “매우 후진적”이라고 혹평했다. 그는 “노무현 대통령 시절인 2004년 전력산업 구조개편 논의가 중단된 뒤 발전부문만 형식적으로 분리되고 수송, 판매 시장은 한전이 독점하는 매우 기형적인 모습이 18년째 지속하고 있다”며 “이도 저도 아닌, 어정쩡한 형태가 전력산업의 경쟁력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