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해외 대체자산 평가에 대한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고 모든 투자건의 상황을 업데이트하며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업계에서는 이같은 시스템을 구축한 모범 사례로 KDB인프라자산운용을 꼽는다. KDB인프라자산운용은 KDB산업은행의 자회사로 특별자산전문운용사다. 해외 대체자산 투자에서 업력이 길다보니 위험(리스크)관리에 있어서 체계가 상대적으로 우수하게 잡혀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
김하일 KDB인프라자산운용 리스크관리팀장은 “주기적으로 투자 자산에 대한 모니터링은 어느 정도 하고 있는 운용사들도 많지만 KDB인프라자산운용의 경우 이 정보를 리스크관리팀에서 주도적으로 이끌며 의사 결정을 하는 체계가 갖춰져 있다는 점이 특징”이라면서 “이슈가 있을 때 빨리 인지하고 팔로업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외 투자 자산에서 이슈가 발생했을 때 이를 빠르게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놓을 경우 문제가 발생한 자산을 관리한 결과 자체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김 팀장은 “대체 투자라는 분야에서 업력이 오래된 회사가 국내에 아직 많지는 않고 성장해나가고 있는 단계”라면서 “감독 기관은 물론 업계에서도 대체 투자 자산 관리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말하는 컨센서스를 계속 만들어 나가는 게 필요한 시점이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다만 KDB인프라자산운용은 운용사인만큼 연기금이나 공제회 등과는 업무 성격이 달라 이 방식을 그대로 따르기는 비용과 인력 등 측면에서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다. 연기금이나 대형 공제회 중에는 국민연금, 사학연금 등이 대체자산에 대한 평가에서 우선순위를 명확히 정해 꼼꼼하게 관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국민연금이나 사학연금은 대체투자자산 공정가치평가 지침을 통해서 ‘주관적 정보보다는 시장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주로 사용하는 방법을 우선순위로 적용할 것으로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가치평가에 있어서 우선순위는 △시장성이 있는 경우 시장 가격 △시장성이 없는 경우 독립적인 제3자와의 거래가격 △기타 공정가치 추정모형 순이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자본시장법상 세 가지 평가 기준(취득가액, 시장가, 제 3자 평가가격) 중 우선순위 없이 한 가지를 선택해 사용하게 만든 것이 문제”라면서 “국민연금이나 사학연금처럼 관련 지침을 명확하게 규정해야 손실이 난 투자자산들이 과대평가되지 않고 정확한 가치로 평가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