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대학생들은 대면 강의보다 떨어지는 강의 질(質) 문제 등을 지적하며 학기 초부터 줄곧 등록금 환불을 요구하고 있다. 교육계에서는 원격 강의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대학의 과감한 투자와 정부의 지원 등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
15일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사총협)에 따르면 지난달 15일 기준으로 전국 193개 4년제 대학 중 85곳(44.0%)이 코로나19 안정 때까지 원격 강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80개 대학(41.5%)은 1학기 동안 원격 강의를 진행한다. 4년제 대학의 85.9%(165곳)가 사실상 1학기 전체를 원격 강의로 운영하는 셈이다.
이러한 모습은 코로나19가 확산되기 전까지만 해도 4년제 일반대학에선 상상도 할 수 없었다. 교육부 원격수업 운영기준에 따라 사이버대학이 아닌 일반대학은 전체 교과목의 20%만 원격수업으로 편성할 수 있었던 탓에 딱히 원격강의를 활성화하겠다는 의지가 없었기 때문이다. 교수단체인 한국대학교수협의회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213개 일반 대학의 지난해 원격 강의 비중은 0.92%로 1%도 채 안됐다.
이 때문에 올해 1학기 개강 직전 코로나19 여파로 정부가 재택수업 권고를 내리자 상당수 대학들은 강의 준비에 대혼란을 겪어야 했다. 원격 강의를 제대로 만들어 운영했던 경험이나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하다보니 갑작스럽게 준비하기 어려웠다. 교수들은 촬영이나 업로드부터 어떻게 해야할 줄 몰라 쩔쩔 매야 했고 학교 측은 촬영 장비나 서버를 확충하기 바빴다.
부족했던 준비 탓에 학기 초 여러 학교에서 서버 다운이 발생하는 등 혼란이 발생하기도 했지만 시행착오를 겪은 끝에 현재 대부분의 학교에서 큰 문제 없이 원격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번 학기에 한해서만 원격 수업 비율 상한이 풀리면서 거의 모든 학교가 일부 실험·실습·실기 강의나 소규모 강의를 제외한 전 강의를 원격으로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대면 수업에 비해 떨어지는 강의의 질 문제는 숙제로 남았다. 사이버 대학은 오랜 시간 쌓아온 노하우와 인프라를 통해 체계적으로 원격 강의 질 관리를 하고 있지만 현재 일반 대학의 경우 교수 재량에 맡기고 있다보니 교수 간 원격 강의 수준 차이가 상당히 크다. 현장 강의 못지 않은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하는 교수가 있는가 하면, 녹음 파일을 첨부하거나 옛날 영상을 재탕하는 교수들도 있다.
이러한 문제 등이 불거지자 학생들은 학습권 침해 피해를 주장하며 등록금 환불을 요구하고 있다. 전국 대학 총학생회 모임인 전국대학학생네트워크(전대넷)는 등록금을 환불하라며 이날 세종시 교육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 국회 앞까지 150km도보 시위에 나섰다. 전대넷은 “코로나19 시국에서 대학생들이 요구했던 등록금 반환과 대학가 대책 마련은 넉 달째 해결이 묘연하다”며 ”국회는 3차 추경 예산에 등록금 반환을 통과시키고 교육부는 등록금 반환 예산 편성을 결단하라“고 밝혔다.
교육계에서는 원격 강의 20% 제한 완화에 앞서 대학은 원격 강의 인프라 구축에 적극 뛰어들고 정부는 이를 지원해 강의 질 향상을 위한 준비부터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송기창 숙명여대 교육학과 교수는 “대학은 원격 강의 인프라 구축에 적극 투자해 강의 질 향상을 위한 시설과 설비를 하루 빨리 구축해야 한다”며 “정부도 추경을 통해 국립대에 노후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 교체에 352억원을 투입할 예정이지만 대학 교육 전체를 위해서는 사립대에 대해서도 반디스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아직 원격 수업 준비에 부담이 많은 교수들이 적극적으로 원격 강의에 임할 수 있도록 강의 시 강의시간을 1.5배로 인정해주는 등 유인책도 마련해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