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푸드 “미생물로 음식물 쓰레기 저감 나선다”…ESG강화·사업확대 도모

정병묵 기자I 2023.03.22 05:15:00

미생물 적용해 음식물 쓰레기 분해하는 기술 연구
노브랜드버거 사업장서 분석…“실효성 있으면 사업화”
식품 낭비가 기후위기를 심화, 기후위기로 식량생산 위기
“원재료 생산부터 음식물 쓰레기 처리까지 부가가치 창출”

[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신세계푸드(031440)가 ‘음식물 쓰레기 절감’에 드라이브를 건다. 음식물 쓰레기 분해에 미생물을 적용해 탄소 중립을 실현하고 이를 통한 사업기회까지 엿본다는 방침이다.

신세계푸드 데블스도어 강남점(사진=신세계푸드)
21일 업계에 따르면 신세계푸드(031440)는 현재 음식물 쓰레기 분해를 위한 미생물 제제(製劑) 전문 업체와 공동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를 위해 현재 가장 많은 사업장으로 확장된 노브랜드 버거 매장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연구개발(R&D) 센터와 간편식 및 베이커리 등 주요 제조공장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석하고 이에 맞는 미생물을 투입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신세계푸드 관계자는 “현재 실험 중인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환경 조건 등을 반영한 새로운 미생물을 개발해 음식물 분해 사업으로 확대할 수 있는지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세계푸드는 대체육 브랜드 ‘베러미트’를 출시하면서 탄소중립 시대에 대비하는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작년엔 농작물 재배 후 버려지는 폐배지(식물체에 영양을 공급하는 물질)를 재활용해 농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퇴비로 탈바꿈시켜 공급하기도 했다. 이처럼 친환경과 비즈니스를 아우르는 사업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낙점한 것이다.

◇식품 낭비→기후위기 심화→식량 생산 위기

정부가 2021년 발표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50년까지 생활 쓰레기를 지금보다 절반으로 줄여야 한다. 인구 감소로 쓰레기가 자연스레 줄어드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절반 수준까지 줄이려면 한 사람이 배출하는 쓰레기가 대폭 줄어야 한다. 그중에서도 온실가스 배출량과 감량효과를 고려하면 음식물 쓰레기를 빨리 줄여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또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식품의 생산, 유통, 가공, 소비 전 과정에서 전 세계 식품 생산량의 3분의 1이 버려진다. 수확 전후로 버려지는 양까지 포함하면 그 비중은 40%까지 높아진다. 식품의 생산 및 소비 전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가 세계 배출량의 3분의 1을 차지하는데, 이 중 3분의 1이 쓰레기 때문이다. 식품의 낭비가 기후위기를 심화시키고 기후위기로 식량생산 위기가 발생하는 ‘죽음의 고리’가 형성되고 있는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쓰레기 관리 차원에서 음식물 쓰레기 감량에 접근해 왔다면 이제는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식품 낭비 및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대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실제 음식물 쓰레기에선 미생물이 발효되며 많은 양의 메탄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매년 먹고 버리는 음식물 쓰레기만 580만t에 달한다. 유통 및 가공공정에서 버려지는 것까지 포함하면 770만t 상당이다. 지난 10년 동안 음식물 쓰레기 등으로 버려지는 양은 무려 20% 증가했다. 국내 연간 식품소비량의 4분의 1이 쓰레기로 버려지는 것이다. 곡물 자급률이 21%에 불과한 나라에서 식량이 줄줄 새고 있다.

◇미생물로 쓰레기 분해…ESG와 비즈니스 동시 추구

송현석 신세계푸드 대표이사가 2022년 7월 28일 서울 서초구 데블스도어에서 열린 대체육 ‘베러미트’ 신제품 출시 행사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신세계푸드)
특히 음식점과 급식소에서도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을 줄일 필요가 있다.

폐기물관리법에 따르면 대형 음식점은 음식물 쓰레기 감량계획을 세워서 실행토록 하고 있다. 송현석 신세계푸드 대표는 이 부분에서 새로운 사업 가능성을 봤다. 음식물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안으로 맞춤형 미생물 제제를 개발·연구 중에 있다.

시중에 점차 확대 적용되고 있는 기존 미생물 제제는 한식 중심의 가정 또는 급식, 외식매장에 적합하게 개발했지만 최근에는 양식, 일식, 베이커리 등 음식종류가 다양해지면서 식재료나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종류에 따른 효과적인 분해 제제의 개발 필요성이 커지는 상황이다.

실제 탄소절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더욱 높아지면서 이에 맞는 미생물 제제 특허나 분해 기술을 확보하게 되면 이를 활용해 식품 원재료 생산(스마트팜)부터 음식물 쓰레기 처리(미생물 분해)까지 식품 소비의 전체 사이클에서 더 많은 부가가치를 만들 수 있다고 판단한다.

신세계푸드 관계자는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하는 탄소량을 20% 이상 절감시켜 탄소중립에 앞장서는 기업으로서 선도 역할을 하고 동시에 관련 사업 기회를 선점해 사업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