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쉬어요”…‘청년 백수’ 자꾸 늘어나는 이유

장영은 기자I 2024.12.02 12:00:00

한은, 청년층 '쉬었음' 인구 증가 배경과 평가
주요 고용지표 양호하지만 청년층 '쉬었음' 비중 증가
'자발적' 추세적 증가…올들어 '비자발적' 사유도 급증
좋은 일자리 부족·기업 경력채용 선호 등 구조적 요인 커

[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청년 니트족(NEET·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직장에 다니는 것도 아니고 교육이나 훈련받는 상태도 아닌 젊은이) 증가가 사회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인구가 청년층에서 꾸준히 늘고 있어서다. 2030 젋은 층이 일하고자 하는 좋은 일자리가 줄어들고 기업들은 경력·수시 채용을 선호하는 등 구조적인 요인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지난 10월 8일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4 경기도 KB 굿잡 페스티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사진= 연합뉴스)


◇올들어 ‘그냥 쉬는’ 인구 증가…청년층이 주도

한국은행은 2일 ‘청년층 쉬었음 인구 증가 배경과 평가‘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최근 주요 고용지표들은 여전히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올해 들어 비경제활동인구 내 쉬었음 인구가 늘어난 점이 눈에 띈다”며 “최근 쉬었음 증가는 취업 경험이 있는 청년층이 주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쉬었음은 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 중 중대한 질병이나 장애 등의 특별한 사유나 교육훈련 없이 노동시장에 참여하지 않는 상태로, 잠재적인 노동력 손실을 나타낸다. 쉬었음 인구는 지난해 기준 국내 비경제활동인구 중 14.5%(235만명)를 차지했다.

고령층(60세 이상)과 핵심연령층(35~59세)의 쉬었음 비중이 큰 변화 없이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는 반면, 청년층(25~34세) 쉬었음 비중은 코로나19 대유행(팬데믹) 시기 늘어난 이후 올해 초부터 다시 큰 폭으로 상승해 지난 3분기 기준 29.5%에 달했다. (아래 그래프 참조)

(자료= 한국은행)


◇“좋은 일자리 없다”…비자발적 이직으로 이탈한 경우도

이수민 한은 고용분석팀 과장은 “취업 경험 유무로 나누어 살펴보면 최근 늘어난 쉬었음 증가는 대부분 취업 경험이 있는 청년층에서 나타나고 있다”며 “노동시장에 진입하지 않고 쉬는 것이 아니라 취업을 경험한 이후 더이상 구직을 하지 않고 쉬었음으로 이탈한 사례가 늘어났다는 것”이라고 짚었다.

청년층 쉬었음 인구를 일자리를 그만둔 사유별로 보면, 자발적 쉬었음이 추세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비자발적 쉬었음도 올해 들어 크게 늘었다. 청년층에서는 자발적으로 쉬는 인구가 비자발적인 경우보다 높다. 이는 팬데믹 당시 비자발적 쉬었음이 크게 늘었다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핵심연령층과 대비된다.

이 과장은 청년층의 자발적 쉬었음 증가가 일자리 ‘미스 매치’ 등 구조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봤다. 전일제 일자리 감소 등 청년층 고용의 질은 악화된 반면, 청년층의 일자리 선택 기준은 높은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일자리 선택의 기준이 높아진 것은 청년층의 교육 수준이 높고, 일자리를 자발적으로 선택하려는 경향이 강한 것과 연관된 것으로 분석됐다.

비자발적으로 쉬고 있는 청년들의 경우엔 일자리 미스 매치와 기업의 경력직 및 수시 채용 선호 등 구조적 요인 외에도 경기적 요인도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 과장은 이직한 지 1년 미만인 쉬었음 인구 대상 조사를 근거로 “비자발적 사유로 쉬고 있는 청년층은 주로 중소기업과 대면 서비스업에 종사했던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상대적으로 고용의 질이 떨어지는 일자리로 이직했다가 ‘쉬기로’ 결정한 청년층이 많았다는 의미다.

(자료= 한국은행)


◇잠깐 쉬다가 영영 쉬게될수도…정책적 노력 필요

과거 흐름을 살펴보면 청년층 단기 쉬었음(이직 1년 미만) 증가는 3분기 정도의 시차를 두고 장기 쉬었음(이직 1년 이상) 증가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쉬었음 상태가 장기화할수록 근로를 희망하는 비율이 줄어들면서 실제 취업률도 낮아지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쉬었음 상태에서 취업에 성공할 확률은 5.6%로 실업 상태일 때(26.4%)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이 과장은 “청년층 쉬었음 증가는 향후 노동공급을 악화시키는 요인이므로 이들을 다시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며 “최근 나타난 청년층 고용상황 둔화와 쉬었음 증가가 전체 노동시장의 둔화로 이어질지 향후 고용상황을 유심히 살펴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