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금센터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전통 안전자산 ‘금’ 수요 자극”

유준하 기자I 2025.02.07 16:54:14

런던시장 금 현물 차입비용 상승
“갑작스런 변동성 확대에도 대비해야”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 이후 불투명한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가 글로벌 금 수요를 자극하고 있다. 이에 트럼프 관세 정책 동향을 예의 주시하는 한편 갑작스런 변동성 확대에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 나온다.

사진=로이터
7일 국제금융센터는 ‘최근 금 시장에서의 트럼프 정부 관세 영향’이라는 제목의 리포트서 이같이 밝혔다. 김용준 국제금융센터 전문위원은 “금을 통한 헤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미국 투자자들의 금 현물 선점 등 전반적인 금 매수 수요가 자극되고 있다”고 짚었다.

실제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과 캐나다, 멕시코 이후에도 유럽 등에 관세를 부과할 방침으로 향후 글로벌 여타 지역에 관세 위협이 확장될 수 있다는 우려가 이어지는 상황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헤지하는 수단으로 전통 안전자산 금이 선호되는 것이다.

김 위원은 “미국으로의 금 수입에도 차후 관세가 부과될 것을 우려한 미국 투자자들의 수요도 집중되고 있다”면서 “뉴욕 시장서 금괴 재고가 최근 850억 달러 수준에 이르는 등 미국 대선 이후 70% 이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런던시장의 금 현물 유동성이 크게 감소하면서 금 현물 차입에 따른 차입 금리도 크게 상승했다. 김 위원은 “런던 중앙은행에서 금 현물을 인출하는데 4~8주까지 기간이 늘어나고 금 현물 차입 비용도 거의 제로 수준에서 한 때 5% 가까이 상승했다”고 전했다.

금 현물과 선물 가격 차이인 베이시스는 평소와 달리 현물가격이 선물가격을 웃도는 ‘백워데이션’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 같은 수요 급증을 반영해 금 가격은 한 때 온스당 2882.4달러를 기록하는 등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기도 했다.

김 위원은 “일각에서는 금 가격의 추가 상승 전망도 제기된다”면서 “다만 관세 정책이 국제금융시장 전반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관련 동향을 예의 주시, 갑작스런 변동성 확대에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