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SNS 통해 사과 의사 밝혀
“검토와 제안 구분하지 않고 말씀드려 사과”
“장관직 제안보다…내각 공동 구성 ‘한국형 연정’ 필요”
[이데일리 황병서 기자]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문재인 정부 당시 유승민·심상정 전 의원에게 입각 제안을 했다는 발언과 관련해 “검토와 제안을 분명히 구분하지 않고 말씀드린 것에 대해서 정중히 사과드리고 양해 부탁드린다”고 18일 밝혔다.
 |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지난달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노무현시민센터에서 열린 ‘일곱번째나라LAB 창립 기념 심포지엄-탄핵너머 다시 만날 민주주의 심포지엄’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
김 전 지사는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제가 지난 15일 한 언론 인터뷰에서 문재인 정부 당시 야당 정치인에게 입각 제안이 있었음을 밝힌 바 있다”면서도 “사실 관계를 다시 확인해보니 당시 문재인 정부는 다수의 야당 정치인들을 입각 제안 대상으로 검토했고, 그 중 대부분은 실제 직간접으로 제안을 하기도 했다. 다만, 유승민 대표와 심상정 대표께는 입각 제안을 논의 단계에서 검토했으나, 직접 제안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신 유승민계로 알려졌던 이종훈 의원에게 입각을 제안했고, 심상정 의원에게 제안하기 전 먼저 노회찬 의원에게 입각을 제안했다”며 “그 외에도 안철수 대표와 김성식 의원, 정두언 의원에게도 직간접으로 제안이 있었으나 실제 입각에는 이르지 못했다고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김 전 지사는 “제가 인터뷰에서 말씀드렸던 취지는 문재인 정부 당시 야당 정치인의 입각을 통해 우리 정치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려는 고민과 노력이 있었으나 우리 정치구조와 문화의 한계로 인해 뜻을 이루지 못했던 경험을 거울삼아, 앞으로는 그때의 시행착오를 되풀이하지 말자는 뜻이었다”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끝으로 “지금의 두 쪽 나다 시피 한 국민 간의 심각한 갈등을 치유하고 국민통합을 이뤄내기 위해서는 단순히 장관직을 제안하는 방식이 아니라 선거 이후 정부 출범 때부터 인수위(또는 그에 준하는 조직) 단계에 함께 참여해 정책 협의를 통해 협약을 맺고, 그 결과에 따라 내각도 공동으로 구성하는 ‘한국형 연정’이 필요하다는 뜻에서 드린 말씀이었음을 헤아려 주시기 부탁드린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