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강경록 기자] 대학가에서 우리말로 쓰여진 간판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말 연구 학회인 외솔회는 김진희 한남대 교양융복합대학 강사가 지난 8월 20일부터 9월 15일까지 경기도 수원시 성균관대역 일대 간판 608개의 자료를 수집해 표기실태를 분석한 결과 우리말을 사용한 간판은 고작 72개(11.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총 608개 조사대상 중 외래어 간판은 204개(33.6%)로 가장 많았고, 이어 혼용어가 31.6%인 192개, 한자어는 140개(23.0%)에 달했다. 또 혼용어 중 고유어와 한자어의 조합은 100개, 고유어와 외래어의 조합은 36개, 한자어와 외래어의 조합은 47개, 고유어·한자어·외래어의 조합은 9개로 집계됐다. 외래어와 외래어가 포함된 혼용어 간판을 더하면 거의 반수에 가까운 296개의 간판에서 외래어가 사용된 셈이다.
업종별로는 교육·문화업종의 간판의 한자어와 외래어 비율이 각각 31.3%로 가장 많았다. 고유어는 12.0%에 그쳤다. 의료는 한자어 비율이 59.5%로 가장 많았고, 외래어 16.2%, 고유어 13.5% 등의 순이었다. 의료·미용·액세서리는 외래어 비율이 각 75.0%·47.5%·38.5%로, 고유어 비율(0%·10.2%·15.4%)을 크게 압도했다. 술집은 외래어 비율이 54.8%로 고유어(7.1%)의 8배, 다방은 외래어 비율이 73.2%로 고유어(12.2%)의 6배, 오락은 외래어 비율이 50.5%로 고유어(6.3%)의 8배에 달했다. 식당은 외래어와 고유어의 비율이 각각 17.0%와 18.0%로 비슷한 대신 고유어와 한자어를 조합한 혼용어 비율이 38.1%로 가장 많았다.
김진희 강사는 “간판 상호 언어에서 외래어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혼용어, 한자어, 고유어 순으로 이어진다”며 “외래어의 경우 표기 오류도 많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