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녹십자랩셀·녹십자셀 합병…글로벌 세포치료제 시장 정조준

박미리 기자I 2021.09.14 08:05:00

13일 주총 개최…11월 합병법인 'GC Cell' 출범
글로벌 세포치료제 시장, 연평균 49% 고성장
랩셀, 美 아티바 2조 계약 등 NK세포치료제 경쟁력
셀, '이뮨셀LC' 개발경험·국내 최대규모 제조시설

[이데일리 박미리 기자] GC녹십자랩셀과 GC녹십자셀 간 합병이 주주들의 거센 반발 끝에 승인됐다. 급성장하는 글로벌 세포치료제 시장 주도권을 잡기 위한 녹십자의 움직임도 보다 가속화할 전망이다.

[표=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격렬 반대 끝에 ‘합병’ 결정

13일 GC녹십자에 따르면 GC녹십자랩셀(144510)과 GC녹십자셀(031390)은 이날 오전 9시 각각 주주총회를 열고 양사의 합병에 대한 의안을 결의했다. 녹십자셀 주주들의 거센 반대로 주총이 오전 내내 진행되기는 했지만 해당 의안은 결국 통과됐다. 녹십자랩셀은 녹십자셀을 흡수합병한 후 GC Cell(지씨셀)로 다시 태어나게 됐다. 현재로선 지씨셀의 지분구조는 녹십자 33.58%, 녹십자홀딩스 7.77% 등 특수관계인 지분이 42.26%에 달할 전망이다. 이는 6월 말 기준 추정치로 내달 5일까지 주주들로부터 주식매수 청구를 받은 후 변동된다.

이날 녹십자셀 주주들의 반대는 GC녹십자셀 주식 1주 당 GC녹십자랩셀의 신주 0.4주가 배정되는 구조로 그만큼 보유 주식가치를 낮게 평가받았기 때문이다. 특히 녹십자 및 특수관계인 지분도 올 6월 말 기준 49.26%인 녹십자랩셀과 달리 녹십자셀은 27.77%에 불과했다.

하지만 합병이 승인되면서 지씨셀도 예정대로 출범할 수 있게 됐다. 이날부터 다음달 5일까지 주식매수청구권 행사를 받은 후 11월1일 합병, 11월17일 합병신주 상장 등에 나선다. 지씨셀을 이끌 수장도 조만간 이사회를 열고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합병 추진 이유는

이번 합병은 급성장하는 글로벌 세포치료제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으려는 취지에서 실시됐다. 시장조사기관 이밸류에이트파마에 따르면 2020년 10억8100만달러(약 1조2700억원)인 글로벌 세포치료제 시장 규모는 연평균 49.1% 성장해 2026년 118억6000만달러(13조9400억원)가 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세포치료제는 신기술로 이제 막 주목받기 시작했다”며 “최근 VC들이 투자를 가장 많이 하고 연구개발 시너지를 일으킬 수 있는 기업 인수합병도 업계 내에서 증가하는 추세”라고 했다. 실제 미국 서모피셔 사이언티픽은 미국 브램머 바이오를, 스위스 론자는 네덜란드 파마셀을, 국내 SK도 프랑스 이포스케시 등을 인수했다. 모두 세포치료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결정으로 분석됐다.

GC녹십자랩셀은 NK세포치료제 개발에 집중해온 국내 선도기업으로 꼽힌다. 올초 미국법인 아티바를 통해 머크와 약 2조원 규모 동종 CAR-NK 공동개발 딜을 체결하면서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2조원이라는 계약 규모는 NK분야에 공개된 액수 중 페이트 테라퓨틱스-얀센(3조5000억원)에 이어 두 번째로 커 글로벌 경쟁력을 인정받은 근거로 여겨졌다.

GC녹십자셀은 국내 허가를 받은 항암제 ‘이뮨셀LC’ 개발 경험과 CAR-T 후보물질을 보유한 회사다. 또 국내 최대 규모의 세포치료제 제조시설을 보유했다. 녹십자셀 셀센터는 연면적 2만820㎡(6300평), 지하 2층~지상 4층 규모로 세포를 생산·배양하는 클린룸도 10개에 달한다. 글로벌 기업인 론자와 우시바이오로직스는 클린룸이 11개, 12개로 알려졌다.

기대 시너지는

녹십자는 두 기업 간 합병으로 무엇보다 세포치료제 연구개발(R&D)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보고있다. 녹십자에 따르면 CAR-NK, CAR-T 등 항암 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은 20개 이상, 특허 40여개, 연구인력이 120명으로 늘어난다. 연구인력의 경우 100~120명 정도인 아타라·알로젠·엔카르타 등 글로벌 세포치료제 개발사와 동등한 수준이다.

녹십자 관계자는 “회사의 R&D 포트폴리오가 세포치료제 영역의 완성형이 된다”고 평가했다. 이동건 신한금융투자 연구원도 “세포치료제 특성상 베이스가 되는 세포가 달라도 공정관련 기술 개발과 CAR 구조·유전자 편집 같은 세포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 부분에서 시너지가 날 것”이라며 “녹십자랩셀이 확보한 ‘AlloNK’ 플랫폼, 동결기술에 대한 특허가 녹십자셀의 차세대 파이프라인인 CAR-T와 CAR-CIK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 확장에도 도움이 될 것이란 게 녹십자 측의 기대다. 앞서 언급한 GC녹십자셀의 대규모 제조시설과 제조경험, GC녹십자랩셀의 공정기술이 더해져서다. 세포치료제는 세포의 종류, CAR 발현 방식 등 다양한 조합에 따라 공정 자체가 복잡하고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에 세포치료제 분야는 아웃소싱 의존도가 50% 이상이고 바이오의약품 중 (임상)개발도 가장 활발하다.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 대표는 “양측의 강점 분야가 결합되면 연구개발, 생산 등 다방면에서 시너지가 충분히 날 것”이라며 “특히 아티바 게약 체결 등 사례를 감안할 때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도 충분하다고 본다”고 전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