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청년 일자리]②구직자는 느는데 중소기업은 인력난…미스매치 원인은?

김기덕 기자I 2021.08.11 06:55:00

1분기 기업 미충원인력 8만5000명
대기업 쏠림에 중소기업은 인력 기근
임금 격차·노동시장 분절 등이 문제
“일관된 정책·인센티브 대폭 늘려야”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사상 최악의 청년 실업, 고용 절벽이라는 말이 전혀 와 닿지 않는 게 사실입니다. 매년 채용공고를 내지만 대졸 지원자는 거의 없거나 업무에 적합한 인력이 지원하지 않아 정원을 채우기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내부적으로도 입사 후 4~5년 가량 지나 어느 정도 업무능력을 키웠다 싶으면 중견기업이나 대기업으로 옮기는 경우도 부지기수입니다.”(서울 구로구 IT전문업체 A사 대표)

지난 6월 서울 강남구 세텍(SETEC)에서 개막한 2021 고졸 성공 취업 대박람회를 찾은 학생들이 채용 공고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일단 초과 근무시간이 대기업에 비해 훨씬 긴데다 직원들을 위한 복지서비스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 임금이 턱없이 낮은 것은 말할 것도 없구요. 일단 대기업 입사 공고가 날 때까지 기다리면서 공무원 시험을 준비할 생각입니다.”(서울 마포구 취업준비생 이모씨)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채용시장에서 일자리 미스매치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인력이나 매출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중소기업들은 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허덕이고 있는 반면 청년층은 지원할 기업이 없어 이른바 N포 세대(결혼·취업 등 N가지를 포기한 세대)로 전락하는 ‘취업난 속 인력난’ 현상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경기 저성장 속 일자리 쏠림현상으로 나타나는 취업시장의 난맥상이다.

전문가들은 중소기업에 지원하는 청년층에 대한 실질적인 인센티브 확대, 중소기업 지원 정책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고용노동부 제공.
◇기업 구인공고에도 채용 불발…미충원 인원 3년만에 최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1년 상반기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1분기 상용 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미충원 인력은 8만5000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2만6000명)에 비해 43.3%가 급증했다. 3년 만에 최다 인원이다. 미충원인원은 기업에서 적극적으로 구인 공고를 해도 실제 채용으로 이어지지 못한 인원을 말한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미충원인원이 3만2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운수 및 창고업(1만6000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000명) 순이다.

청년 실업률이 갈수록 높아지는 상황에서 기업, 특히 중소기업이 근로자 기근에 시달리는 이유는 뭘까. 가장 큰 이유를 보면 취업준비생들의 기대치에 맞는 기업이 부족한 것이 제일 큰 원인으로 꼽힌다. 또 기업 입장에서는 최소한의 실무능력을 갖춘 지원자가 없어 채용을 적극적으로 하기가 쉽지 않아서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기본적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실질적으로 임금차이가 너무 많이 나는데다 상위 노동시장과 하위 노동시장의 이동할 수 있는 사다리가 전혀 없이 극단적으로 분절돼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는 서울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지난해 서울 지역 청년층(15~29세)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전국 시·도로 인구 전출이 나타났지만, 청년층은 오히려 4만8259명이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준비 등을 이유로 전국 각지에서 미취업 청년이 서울로 몰리면서 일자리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일자리 지원책, 현장서 오작동…“중장기 지원·통합 창구 마련해야”

문제는 이런 상황에서 정부나 각 부처 산하기관에서 다방면으로 일자리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중장기 대책이 아닌 임시방편적인 단기 처방에 불과한데다 이를 공지하는 제대로 된 소통 창구도 없어 기업들이 적용하기가 쉽지 않아서다.

온라인 마케팅 및 디지털컨텐츠를 제작하는 A중소기업을 운영하는 한 대표는 “올해 인턴 등 2명을 채용해 정원을 12명으로 늘릴 계획을 세우고 있는데 정부 지원이 3개월로 짧게 정해져 있다 보니 6개월 교육이 충분히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할지 고민 중”이라며 “지원 정책이 일관되지 않고 예산 소진 시 바로 적용이 끝나는 경우가 많아 현장에서 업무교육을 진행하기가 어려운 점이 많다”고 토로했다.

매출 30억원 규모의 IT업체 대표는 “서울시,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등 각 기관에서 다양한 청년일자리 지원을 하고 있지만 정보가 여러 곳으로 나눠져 있어 찾는데 적잖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며 “지원책을 잘 활용해 맞춤형 인재를 선발할 수 있도록 통합 지원 시스템을 갖췄으면 훨씬 도움이 될 거 같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시는 청년층의 취업 문턱을 낮추기 위해 실질적으로 취준생인 청년층이나 중소기업에게 적극적인 지원을 하는 등 실질적인 일자리 정책을 펼쳐 톡톡히 효과를 보고 있다.

서울시에서 추진 중인 ‘청년인턴 직무캠프’ 직무훈련 교육 사진.(서울시 제공)
먼저 시는 실전 중심의 일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전문 직무교육인 청년인턴 직무캠프 사업을 펼치고 있다. 오는 9월부터 본격적인 인턴십을 시작하는 이 사업은 만 18세 이상~34세 이하의 서울 거주 청년 구직자를 대상으로 3~4개월의 직무훈련과 3개월의 인턴십 기회를 제공해 취업을 알선하는 프로젝트다. 이 사업에는 쿠팡, 3M, 존슨앤존슨, 맥도달드, 퀄컴 등 중견기업을 비롯해 성장 잠재력이 있는 중소기업 등 총 73개 기업이 참여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청년층이 선호하는 기업의 참여를 확대해 구직자 참여 인원을 늘리고 인턴 기간을 더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실전에 바로 투입돼 일을 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 전문기관을 통해 현장·실무 중심 교육을 진행하는 만큼 양질의 일자리를 원하는 청년층 지원이 활발한 편”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