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사령관은 특검 출석 전인 오전 9시34분께 조사실이 마련된 서울고검 청사 앞에 모습을 드러내 취재진에게 “제 모든 행동은 국가와 국민을 위한 것이었지, 개인적인 이득을 취하려 한 적이 한 번도 없다”며 “군사 작전에 관한 특검 조사를 받는다는 게 참담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진실과 오류를 분명하게 구분해 설명하겠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9월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만났다는 의혹이 사실인가’라는 취재진 질문에 “전혀 사실이 아니고 근거 자료가 있다”며 “‘V(윤 전 대통령을 지칭)의 지시다’ 이런 내용이 나오는데 전혀 사실이 아니다. 직접 지시를 받은 적 없다”고 부인했다.
무엇보다 김 사령관은 ‘이승오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에게 무인기 작전 보고를 했나’라는 취재진의 질문에 “아마 당연히 하지 않았겠나. 군인이”라고 답했다. 사실상 무인기 침투 작전이 실제로 있었으며, 윗선에 보고돼 이뤄진 것이라는 취지의 답변으로 읽힌다. 이에 따라 김 사령관 측은 해당 작전이 정당하기 때문에 죄가 될 수 없다고 주장하는 상태다.
관건은 윤 전 대통령이 해당 작전을 지시했느냐 여부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명분을 만들기 위해 북한에 무인기를 보내 대남 공격을 유도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실제 특검팀은 무인기 침투 작전과 관련해 ‘김 사령관으로부터 V(대통령) 지시라고 들었다’는 취지의 현직 장교의 진술을 확보한 상태다. 다만 김 사령관 측은 이같은 사실을 부인하고 있다.
반면 윤 전 대통령 측은 무인기 침투를 지시한 적이 없다는 입장이다. 특검팀이 관련 진술을 확보한 뒤인 지난 5일 이뤄진 윤 전 대통령 조사에서 이에 대해 추궁했으나, 윤 전 대통령은 완강하게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김 사령관을 통해 무인기 침투 작전이 어떤 경로로 이뤄졌는지, 윤 전 대통령의 지시로 인함인지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특검팀은 이날 오전부터 이른바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 의혹을 받는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의 자택 등 7곳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