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간담회는 중증·핵심의료 재건이 주제였지만 국회와 사직 전공의 모두 사실상 전공의 복귀를 위한 대화의 초석으로 바라보는 견해가 컸다.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앞서 의대생이 복귀하겠다고 밝히면서 이제 무너졌던 의료 교육 토대도 다시 세울 수 있는 상황이 됐다”면서 “이 흐름이 이어져 전공의도 조속히 복귀할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수진 국회 복지위 더불어민주당 간사는 “국민의 입장에서 전공의 복귀가 조속히 이뤄지기를 기대하고 있고 국회도 관련해 충분한 역할을 하고 싶다”고 거들었다.
이에 한 비대위원장은 “지난 1년 4개월이 지나고 무자비한 폭격이 지나가고 주변을 둘러보니 저희가 빛나고 자랑스럽게 생각했던 대한민국 의료가 무너지기 직전의 상황”이라고 답했다. 이어 “잘잘못을 따지는 것을 넘어 우리는 이 자리에서 살아가야 할 미래 세대이기 때문에 중증 핵심 의료를 재건해 나아가겠다”고 했다.
특히 그는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수련 연속성 보장·의료 현장 법적 리스크 완화를 제안하며 의료계가 가지고 있는 모든 문제를 다룰 수는 없겠지만 이를 개선하는 것은 대한민국 미래 의료를 위한 중요한 주춧돌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아울러 그는 “이 자리를 빌어 그간의 사태로 환자와 보호자가 겪었을 불안함에 마음이 무겁다”면서 “더 나은 의료라는 환자와 의료계의 공동 목표를 향한 고민과 노력을 이어나가겠다”고 답했다.
한편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이날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발적으로 환자를 위해 돌아온 게 아니라 끝까지 복귀하지 않다가 정부의 특혜성 조치에 기대 돌아온 전공의·의대생이 더 우대받는다면 이는 정의와 상식에 반한다”며 “복귀는 조건 없이 자발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